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서성배 축산국장의 취임 일성

"안전하고 깨끗한 축산물 생산을 지원하겠다"는 신임 서성배농림부축산국장의 취임 일성은 앞으로 농림부의 축산정책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의미있는 언급으로 받아들여진다.
농림부가 안전하고 깨끗한 축산물 생산을 지원하겠다는 정책을 밝힌 것이 서국장이 처음은 아니지만 농림부 축산정책을 그동안 축산물 생산자 중심에서 축산물 소비자 중심으로 펼치겠다는 의지를 더욱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농림부 축산정책을 소비자 중심으로 펼치겠다는 것은 그동안 "축산농가에서 이런 축산물을 생산했으니 먹어달라"는 것이 아니라 "축산물을 생산하기에 앞서 소비자들이 어떤 축산물을 원하는지를 먼저 파악하고 축산물 생산에 임하도록 한다"는 것이어서 우리 축산물의 경쟁력을 궁극적으로 높이겠다는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
서국장은 또 소비자의 입장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축산물 생산은 축산 환경을 깨끗이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하고, 이를 위한 정책지원을 강화할 것임을 아울러 시사했다. 다시말해 축산 환경이 깨끗해야 위생적인 축산물 생산이 가능하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 또한 우리 축산의 현실을 볼 때 적절한 지적이요, 정책 방향이라고 본다.
사실 우리 축산은 깨끗한 축산물,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위해 해야할 과제가 너무나 많다. 각종 가축질병 근절, 가축분뇨의 효과적인 처리, 축산물의 생산에서 식탁에 이르기까지의 완벽한 위생조치(HACCP) 등이 그것으로 최근들어 이같은 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아직 그 성과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가축질병 문제의 경우 구제역 발생이후 축산농가들의 소독을 통한 차단방역에 대한 인식이 조금 높아지긴 했으나 가축질병 근절이라는 목표에 이르기에는 축산농가들의 의식이 기대 수준이하이며, 방역체계 또한 헛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가축분뇨의 효율적인 처리 문제는 특히 양돈농가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로 여기는 현안으로, 분뇨 처리 방법 선택과 관련, 어느 양돈장이고 시행착오를 겪지 않은 농장이 없을 정도다. HACCP 또한 그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아직 유통과정에서의 문제 등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
이렇듯 깨끗한 축산물,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위해 할 일이 많다. 또 그 일은 소위 "축산장관"이라고 부르는 축산국장이 짊어져야할 짐이다. 물론 이 모든 문제를 축산국장 한 사람의 힘만으로 풀 수는 없다. 축산농가를 포함한 모든 축산인들이 함께 풀어나가야 할 문제다. 그럼에도 축산국장에게 이같은 짐을 지게 하는 것은 신임 축산국장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이왕에 취임 일성으로 깨끗한 축산물,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강조한 만큼 이와 관련한 현안 해결에 강한 정책 의지를 주문하고 싶다.
축산업계는 이밖에도 해결해야할 현안들이 많지만 유독 신임 축산국장의 깨끗한 축산물, 안전한 축산물 생산이라는 취임 일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소비자들이 우리 축산물을 선택할 수 있어야 우리 축산업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임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아울러 축산농가들도 이제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우리 축산물을 선택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 축산환경을 깨끗이 하고, 정말 깨끗한 축산물,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해야 외국 축산물과 당당히 경쟁할 수 있다는 각오를 다시한번 새롭게 하기를 당부하고 싶다. 가격이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위생적이고 안전한가가 중요한 것인지는 그동안 광우병 파동 등의 예에서 익히 알고 있지 않은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