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관계부처 업무보고 받고 “AI 피해 관심 더 필요” 강조
농장관리 매뉴얼 강화·악성질병 재발 방지 근본대책 수립 촉구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4일 최근 국내에서 발병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관련, “농축산인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일에 정부의 관심이 더 필요하다. AI나 FMD 같은 재난 수준의 질병은 농축산인의 삶 자체를 위협한다”면서 “이번 AI 상황에 대처하면서 확인된 미흡한 점을 분석하고, 외국 사례도 조사해 농장관리 매뉴얼을 더 정교하게 정리해야겠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철새 도래지 인근의 닭·오리 농장 허가 조건 강화와 축사시설 현대화, 환경 친화적 축산 강화 등 AI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대책을 수립하기 바란다”며 “아울러 FMD도 최근 북한, 중국, 몽골 등 주변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가축 백신 접종과 국경 검역 등을 한층 더 강화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시흥시 소재 시흥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으로부터의 민생·실물경제 분야 합동 업무보고에 참석, 이같이 말하고, 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우리의 강점인 정보기술(IT)·생명공학기술을 농축산업과 융합해 ‘창조경제’의 핵심 수출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정부 관련 부처에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민간 전문가와 농축산인단체 등이 동참하는 ‘농식품수출개척협의회’ 운영을 내실화해 농업인·농식품 기업에 수출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농식품 분야 100억달러 수출’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는 등 수출을 통해 우리 농업의 활로를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 토론 및 마무리발언에선 “제조업 분야에서 해외 시장조사를 하듯, 농축산 분야에서도 시장조사를 해서 필요한 수요 등을 알려주면 우리 농업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견해를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좋은 농업기술을 개발해도 이를 사업화하기 위한 융자 등의 금융지원을 받기가 쉽지 않다’는 한 참석자의 지적엔 “기술을 개발해 어느 부처에 갔을 때 ‘이건 우리 소관이 아니니까 다른 곳으로 가보라’고 대응해선 안 된다”며 “부처 간 협업(協業)을 통해 모든 소관 부처를 넘어서 ‘원스톱’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걸 모든 부처가 사명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농축산 분야는 시장이 좁고 정보도 잘 알려지지 않아 유망 기술이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개발된 기술이 초기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농업 면세유 부정사용과 보조금 부정수급 등 고질적·비정상적 관행이 잘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단돈 한 푼이라도 국민의 혈세가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 뒤엔 최근 AI 발병으로 소비가 급감했던 국내산 닭과 오리고기로 만든 요리를 시식하는 행사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AI 때문에 막연한 불안감으로 (닭·오리고기의) 소비가 줄어 농축산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익혀 먹으면 아무 문제없는데…”라며 “(요리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로 (닭·오리고기가) 많이 소비됐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