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 전문컨설턴트의 ONE POINT 컨설팅⑫

젖소목장 육성우 적정한 사육두수는

 

함영화 대표 (주)함컨설팅


젖소목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착유우 두수와 생산유량에 대한 목표는 가지고 있지만 적정한 육성우 두수를 어느 정도 가져갈 것인지, 적정한 육성우 두수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인지에 대한 검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목장에서는 개량과 적정한 우군 구성을 위해 육성우에 대한 생산계획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
목장의 경우 어떻게 적정한 육성우 두수(송아지-육성우-초임만삭우를 포함)를 산출할 수 있을까?
계산을 위해서는 첫째 목장에서 목표우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몇 마리의 도태우와 도태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 착유우가 있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둘째 목장에서 송아지 생산부터 초임 만삭우까지의 기간을 계산한다. 셋째는 육성과정에서 도태되는 비율과 번식간격을 계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착유우 36두(건유우 포함)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장에서 적정한 육성우 두수를 기준(번식간격 14개월, 평균 산차 2.0산, 초종부월령 15개월)을 가정하고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목장에서 매년 도태되는 착유우 두수(36두/2산차*<12개월/14개월>)는 약 15두 수준이고, 목장에서 생산되는 연간 송아지두수(36두/14개월*12개월)는 약 31두일 것이다.
약 15두를 암송아지로 추정할 수 있으며 생산된 송아지가 육성돼 연간 착유우로 공급되는 두수(15두*90%*90%)는 약 12두 수준이다.(송아지 육성률 90%, 번식장애비율 10% 기준)
즉, 현재의 성적수준으로는 자체적으로 착유우 우군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우군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외부에서 암송아지 또는 초임우를 구입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일시적으로 저능력우 또는 문제우를 사육해야 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된다. 이런 목장이 착유우 우군을 유지하려면 초종부월령의 단축, 착유우의 평균 산차 증가, 번식간격의 감소 등을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초종부월령의 단축이나 번식간격의 감소는 목장에서 쉽게 이루어내기 어려운 항목이다. 때문에 목장의 착유우 평균산차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목장의 개량된 우군의 안정적인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착유우의 평균산차를 향상시키며 관리하는 노력이 생산성, 수익성을 모두 유지할 수 있는 첫 걸음일 것이다.
목장의 착유우 우군의 유지를 위해 자체 생산한 암송아지의 육성으로 가능한지 분석하고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안을 찾아야 한다.
착유우군을 유지하기 위한 육성우군의 자체 생산 안정화는 목장의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지표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