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부 이천일 축산국장
농협·농경연과 간담 이어
축산단체장들과 의견 나눠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이 축산단체와 함께 축산현안 해결을 위해 현장의 한가운데 뛰어들면서 해법을 찾아 나섰다.
이천일 축산정책국장은 지난달 29일 제2축산회관을 찾아가 9개 축산생산자단체장들과 함께 간담회를 갖고, 가축질병에서부터 영연방 대책 등 다양한 축산현안을 놓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축산단체장들은 당정협의체에서 도출된 영연방 대책이외에 축산업계에서 요구한 사항들을 면밀히 검토해서 반드시 실행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손정렬 낙농육우협회장은 국내산 조사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균일성이라든가 품질저하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등급화를 시켜야 한다면서 국내산 조사료 정책의 변화를 주문했다.
이병규 한돈협회장은 FMD 발생으로 어쩔 수 없이 살처분을 해야 할 상황에서 살처분 비용을 농가에 부담시키는 것은 농가를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중앙정부에서 지자체에 대해 시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정병학 육계협회장도 영연방 대책의 일환으로 도축(계)장의 전기료를 한시적으로 인하해 준다고 한 산자부가 계량기를 부착하라고 하면서 도축(계)라인만 전기료를 인하하겠고 하는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창호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은 도축수수료가 지역별로 다른 것에 대한 문제점 지적과 함께 도축장 관리는 업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농축산부내 식품담당부서가 아닌 축산담당부서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천일 축산정책국장은 다양한 축산업계의 의견을 들어보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자리인 만큼 정부와 생산자단체, 그리고 현장의 축산인들과 윈-윈 할 수 있도록 서로가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했다.
이에 앞서 축산정책국은 농협과 농촌경제연구원과도 소통의 자리를 마련,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을 실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