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2회 미만(정부 사업기준 12회) 7.4%…패널티 등 자격기준 강화돼야
정부의 돼지소모성질환 지도지원사업 참여 컨설턴트의 자격기준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돈자조금의 사업으로 대한한돈협회가 실시한 ‘2014년도 전국 양돈장질병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번 조사를 담당한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선일 교수에 따르면 정부 지원 농가 가운데 질병실태 조사 현지조사서 내용이 충실하고 농장주소가 확인된 344개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2.6%가 돼지소모성질환 지도지원사업에 ‘만족’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이 가운데 ‘매우 만족한다’ 는 대답도 51.9%에 달했다. 반면 불만을 표시한 사례는 한건도 나오지 않았다. ‘보통’ 이라는 응답만 7.4%였다.
지도지원사업 이후 폐사율이 줄었고 사양기술도 향상됐다는 응답비율도 높았다.
이에따라 지도사업을 담당하는 컨설턴트에 대한 평가도 좋아 응답자의 96.3%가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과정에서는 컨설턴트의 지도지원 방법이나 자격에 대해 일부 문제가 드러났다.
박선일 교수는 지도지원 사업을 위한 컨설턴트의 농장방문 횟수를 파악한 결과 정부 지원 기준인 12회에 미치지 못했던 농가도 7.4%에 달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3년 10.9%에 비해 개선되기는 했지만 부실 컨설팅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이번 설문 응답자의 14.8%가 컨설턴트에 대한 교체의향이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
박교수는 “정부 사업지침을 이행치 않는 컨설턴트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부과하되, 높은 평가를 받은 컨설턴트의 경우 인센티브를 받을수 있는 방안과 함께 자격기준 강화도 적극 검토돼야 한다”며 “자문단에 대한 불만사항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컨설팅 기법 미흡도 이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한편 돼지소모성질환 지도지원사업 대상 농가들은 ‘경비부담(37%)’을 가장 큰 애로점으로 꼽은 가운데 질병 뿐 만아니라 사양관리 및 환경개선까지 컨설팅 사업이 확대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