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태 지원장 품질평가원 강원지원지난해 양돈시장은 급격한 가격하락과 소비둔화라는 이중적 모습을 보여준 특이한 한해였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도매시장 가격은 탕박기준 지난해 1월 평균 4천658원에서 올 1월 평균 3천3원으로 급격히 하락한 반면 외식시장의 소비자 가격은 요지부동이다. 그들의 주장은 돼지고기와 같이 먹는 채소류가 비싸다든가, 다시 가격이 올라갈 것인데 내릴 필요가 있겠는가 등등의 이유로 가격을 연동시키지 않은 까닭에 소비자는 돼지고기 가격에 화가 나 있다. 방송에서는 연일 돼지고기 가격 폭락으로 생산자의 어려움을 읍소하고 있지만 소비자가 외식시장에서 느끼는 감정은 다르다.2012년 7월 2일자 연합뉴스에 이런 기사가 있었다. “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한 결과, 소비자의 89%는 국산 돼지고기가 품
김관태 지원장축산물품질평가원 부산경남지원돼지고기의 가격이 FMD의 충격에서 회복되면서 고공행진 하던 도매가격도 많이 낮아져 오히려 생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반면 외식시장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은 아직도 높다.FMD 충격기간 외식시장에서 1인분을 200g에서 120g 줄여 높은 가격의 부담을 해소하던 방식이 지금도 유지돼 식당에서 1인분은 100, 120, 140g 등 다양하다. 그러다 보니 한사람이 만족스럽게 먹을 수 있는 삼겹살 분량은 3인분이 된다. 그 3인분은 쇠고기 1인분 가격과 비슷할 정도로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부담이 크다.생산도 중요하지만 최종 소비단계인 출구전략이 필요할 때다. 외식시장의 왜곡된 1인분 기준도 표준화해야 한다.지나친 상술로 소비자를 우롱하는 1인분 장난을 근절해 저렴한 가격으로 삼겹살을 충분히 먹고 만족하는 소비자가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