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요 한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축산물 보신에서 주식으로 통계청과 OECD 자료에 따르면 1990년도 우리나라는 1인당 쌀 소비량이 119.6kg이었고 육류는 5.796kg으로 쌀이 주식이었다. 이 시기에 육류는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이기 보다는 보신의 인식이 더 강했다. 하지만, 2018년도 기준 우리나라…
이 명 지 대표이사((주)안씨젠)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이슈가 떠오르면서 일본 관련 환경문제도 새로이 부각되고 있다. 2014년 언론매체들이 시멘트에서 검출된 각종 중금속과 대표적 발암물질 ‘6가 크롬 시멘트’를 앞다퉈 보도했을 때도 시멘트업계는 크게 긴장하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분위…
김동균 이사장(전 상지대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믿음은 우리의 오늘이 있게 한 큰 원동력 중의 하나이다. 특히, 종교인들에게는 삶의 최우선 덕목에 두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의 실생활에 믿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알고 나면 이것이야말로 ‘대단히 위험스러운 물건’임을 알게…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시작하며 우리나라에서 염소를 얘기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흑염소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염소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품종이 사육되고 있으며, 사육목적에 따라 육용(肉用), 유용(乳用), 모용(毛用)종 등으로 분류된다. 국내에서도 현재 재래…
김 유 용 교수(서울대학교) 중국은 전 세계 돼지의 약 50%를 사육하고 있고, 돈육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의 약 48%를 차지하는 나라다. 이런 나라에서 2018년 8월 랴오닝성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african swine fever)이 10개월이 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중국 전역으로 전파됐다.…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로마클럽이 1972년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라는 보고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고 한다. 그 뜻은 인간과 자원의 공생, 개발과 보전의 조화, 현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 형평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 경영에도 반영되어…
류경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산란계업계가 가격 하락에 몸살을 앓고 있다. 산란계는 지난 2006년부터 정부지원에 따라 계사의 시설현대화에 농가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급속도로 무리하게 생산기반이 확대됐다. 현재 이로 인한 후폭풍으로 공급과잉 상태에 직면 한 것이다. 그간 아이러니하게도 A…
윤요한 교수(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건조숙성(dry-aging)육의 인기는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런 건조숙성육의 인기는 축산분야의 새로운 판로가 생겨났다는 점과 비선호부위나 저등급육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건조숙성육 시장의 규모가 급격하게 증…
김동균 이사장(前 상지대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얼마 전 지구 인구수가 77억 명을 넘었다. 지난 세기에 우리나라는 늘어나는 인구를 조절하려고 ‘둘 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구호가 대세를 이루었는데 지금은 세계 제일의 저출산 국가가 되어 인구 절벽으로 인한 문제들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전중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시작하며 우리나라에 처음 동물복지 인증제도가 도입된 2012년, 젖소 관련 사료업체, 유업체 및 농가들로부터 많은 문의가 있었다. 아직 젖소농가에 대한 인증기준이 마련되기도 전이었으나, 도입시기와 기준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사육환…
김유용 교수(서울대학교) 2018년 8월 중국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이후 우리나라 축산업, 특히 양돈업계에서는 ASF의 유입 방지를 위해 다양한 정책과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양돈산업을 살펴보면 ASF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불황의 경고음이 지속적으로 들리고 있다. 국…
류경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최근 들어 오해를 사고 있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은 비교적 환경오염이 적고, 다른 사육시스템에 비해 계분과 닭이 분리돼 위생적인 사육방법이다. 또 일괄·체계적인 닭의 사양관리가 가능해 노동력도 절감할 수 있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