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유통업계는 최저 임금 인상으로 인해 경영에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 지금보다 더한 구인난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무 특성상 축산물유통업계 직원들 가운데 최저 임금 수준 직원들이 다수 있고 이들 직원에 대한 임금을 인상하게 되면 다른 직원들의 임금인상도 고려해야 하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
문제는 축산물유통업계가 1% 미만의 수익률을 내고 있고 여기에 매년 업체들간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기존 직원 임금인상폭을 크게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도 3D업종으로 신규직원 채용이 어려운 가운데 임금이 인상됨에 따라 신입직원 채용이 더 힘들어 질 것이란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축산물유통업계는 외국인 인력 지원 확충과 축산학과 출신 병역특례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식육운송업종은 운송업, 화물취급업으로 분류돼 있어 외국인력 고용을 위해서는 고용노동부를 통해 서비스업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축산물유통업계 특성상 도축, 가공 등 고용해야 할 인원이 많고 운전 외에도 돼지의 지육중량 40~150kg, 소는 100~160kg에 달하는 지육을 직접 옮기는 육체노동을 감당하는 등 3D업종인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최저 인금 인상으로 인해 임금 인상폭을 놓고 고민 중에 있다”며 “문제는 소비자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축산물을 요구하는데 축산물유통업체들의 수익률이 매년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원 임금 인상이 힘들어 결국 도급시스템을 도입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최저 임금이 인상됨에 따라 수익개선을 위해 노력 중에 있지만 뾰족한 방법이 없다”며 “도축장과 가공장은 대체적으로 고령인력만으로 유지되고 있어 젊은 인력 유입이 쉽지 않아 인건비를 높여 제시했지만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구인이 쉽지 않아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최저임금을 지난해보다 16.4% 오른 7천530원으로 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