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달 27일 고온 다습한 여름철, 젖소 임신우의 쾌적한 여름 나기를 위해 낙농가의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다. 일반적으로 임신한 젖소는 임신하지 않은 젖소 보다 고온 스트레스 영향을 많이 받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육하는 젖소의 99%를 차지하는 홀스타인종은 더위에 약해 폭염이 지속되면 우유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여름철(6∼8월) 고온 환경에서 비임신우와 임신우의 우유 생산량(유량), 직장 온도, 1일 체중 증가량(일당증체량) 등 고온 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우 평균 유량이 6월부터 8월 사이 31% 줄었으며 가장 더운 8월에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비임신우 유량은 같은 기간 평균 21% 줄었다. 임신우 직장 온도는 평균 40℃ 이상을 넘어서 비임신우 39.3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는 임신우가 더위로 인한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았음을 보여준다. 일당증체량은 비임신우와 임신우 모두 6월보다 7∼8월에 급격히 감소했다. 축산원은 유량, 직장 온도, 일당증체량 분석 결과를 종합해 임신우가 비임신우 보다 고온 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광석 낙농과장은 “농가에서 그늘막 설치, 송풍기, 안개분무 등 간단한 조치로도 여름철 젖소의 고온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며 “비타민과 광물질을 추가로 보충하고, 신선한 사료를 먹여 젖소의 영양 상태를 관리하면 고온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