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영농기술 습득 등 현실적인 지원 대책 있어야
정부가 제2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했지만 전체 귀농인구 중 축산업으로의 귀농은 사실상 쉽지 않아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연 평균 49만2천여 명이 새로운 삶을 찾아 귀농귀촌에 성공했다.
본격적인 비대면 시대를 살아가고 있고 일과 삶의 균형인 ‘워라벨’을 중요시 하는 청년 인구들의 특성상 귀농귀촌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역 소멸에 대한 위기감을 느낀 지자체에서도 귀농귀촌 인구를 늘리기 위해 많은 지원 정책을 세우고 있다.
그럼에도 축산업으로의 귀농은 아직 먼 얘기로 여겨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귀농에 성공한 인구는 2천38명 이었으며, 이 중 축산업으로 귀농한 사례는 3.2%에 불과했다.
축산업으로 귀농한 사례를 축종별로 분석한 결과 한우‧젖소를 선택한 농가는 52명이었으며 이들 농가는 평균 52마리의 소를 사육 중에 있다.
돼지를 선택한 농가는 1명으로 1천520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27명이 선택한 가금은 평균 2만1천580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기타 가축을 선택한 사람은 33명이었다.
정부가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인이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농촌생활 사전 체험 및 지역민과의 교류 등 내실있는 준비를 지원하고 농촌지역 환경 및 생활인프라 개선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축산의 경우 가축사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까지 포함되어야 함에 따라 영농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지원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귀농귀촌 실태조사에서 귀촌인들은 농촌에서의 일자리 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기를 희망한 반면, 귀농인들은 소득과 영농기술 향상을 위한 농업 경영지원을 중시하며 온도차를 보이기도 했다.
축산업계는 인구 고령화 추세에 맞물려 젊은 인력 유입을 후계농에게만 의존하고 있는 현 제도에서 탈피해 귀농을 준비하는 젊은 인력들이 축산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