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이 지난 16일 디지털 농업을 조기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10대 핵심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농진청이 선정한 10대 핵심과제는 가축의 활동성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질병을 예찰하고 발정, 임신 등 번식 시기를 예측해 개체별 정밀 관리가 가능한 ‘가축관리 및 질병 조기탐지 서비스’의 실용화를 비롯해 ▲스마트팜 최적환경제어 시스템 고도화 ▲노지 정밀농업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농기계 및 농업용 로봇 상용화 ▲농업기상 예보 및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확대 ▲인공지능 병해충 진단 서비스 보급 ▲디지털 육종시스템 구축 ▲데이터 기반 농업경영 진단 서비스 구현 ▲디지털 기반 농촌공간 재생 모델 개발 ▲농업기술 안내 챗봇 서비스 개발 등이다.
농진청은 10대 핵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자율주행, 드론‧위성, 메타버스‧디지털 트윈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이에 맞는 각종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 밝혔다.
축산분야의 경우 가축분뇨 청소 로봇 등을 개발, 농업노동력을 대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10대 핵심과제 등 디지털농업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위해 올해 878억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농진청 박병홍 청장은 “4차 산업혁명 흐름은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라며 “농축산분야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도입해 지속가능한 농축산업을 구현하고 많은 청년 농축산인이 정착하는 농촌을 구현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