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품질 중심 생산시스템’ 시급…소비자 니즈 파악부터
양질 인력확보 대책 절실…‘규제’ 아닌 ‘진흥’ 정책도
한돈산업발전협의회가 지난 5일 발족과 함께 첫 회의를 가졌다. 한돈산업발전협의회를 주도한 한돈협회는 4차 회의(간담회)까지 주제를 이미 제안해 놓은 상황.
첫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한돈 프리미엄화를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에 주목하며 변화없이는 산업의 미래도 장담할수 없다는 공감대와 함께 변화를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각자 입장에서 의견을 개진했다.
우선 소비자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맛있고, 안전한 돼지고기 생산 및 공급시스템 구축을 통한 질적 성장체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마트 그로서리본부 문주석 축산총괄은 “소비자가 원하는 한돈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부터 해야 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각 부문별 역할이 부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초청인사로 나선 이병모 한돈협회 고문(전 한돈협회장)은 “인구절벽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연령층별 인구 구성에 따라 돼지고기 소비도 달라질수 있는 만큼 인문학적인 측면에서 연구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준길 한국돼지유전자협회장은 언제까지 ‘신토불이’에 의존할 수는 없다며 소비자가 원하는 돼지고기 생산을 위한 양돈농가, 종돈업계, 돼지인공수정업계의 역할을 강조했다.
민동수 한국종돈생산자협회장은 차별화된 돼지고기 생산을 위한 과제로 개량체계 단일화와 함께 육량이 아닌 품질 중심의 생산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차별화된 돼지고기 생산을 위한 등급제 개선방안도 제기됐다.
김용철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장은 “의무 등급제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돼지고기 품질 차별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성과도 나오고 있지만 지금의 등급제로는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도 “한우와 같이 돼지고기도 소비등급제가 정착, 소비자에게 선택의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품질 차별화를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성도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경태 농협 경제지주 축산지원부장은 “국내 평균 양돈생산성이 MSY 25두 이상은 돼야 한다. 차단방역의 시스템화도 시급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정병곤 한국동물약품협회장은 ASF 리스크에서 벗어나기 위한 백신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와 양돈업계 차원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양돈현장의 인력구조 개선도 지속가능한 한돈산업의 핵심과제로 지목됐다.
강권 한국양돈연구회장은 “인력문제가 정말 심각하다. 양돈연구회 차원에서도 그 해결방안을 모색,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윤희진 한돈협회 고문(다비육종 회장)은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 강한 우려를 표출하며 현장과 연계되지 않고 있는 교육 시스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정책기조의 변화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윤희진 고문은 “정부의 축산정책에 진흥은 빠지고 규제만 남았다”며 안타까움을 표출했다.
이병모 고문 역시 식량안보 차원에서 양돈산업에 접근하고 지원하는 농림축산식품부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권혁만 선진한마을 총괄대표는 “환경개선 등을 위해 양돈장 밀폐가 필요하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이를 위해선 기존 양돈장의 60%를 바꿔야 하는데 그 예산만 10조원 정도가 필요하다. 정부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손세희 한돈협회장은 이에 대해 “철학과 깊이 없는 정책들이 고통과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선진국 반열에 올라 선 대한민국이지만, 1차 산업에 대한 정책은 아직 가야할 길이 너무나 멀다”며 “우리도 노력해야 하지만 정부도 달라져야 한다. 전후방산업계도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