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5일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국제곡물 수급대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국내 관련 업계와 협회, 제당업체, 곡물 공급상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했으며, 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국제곡물 시장 상황이 불안정하나 식용 밀은 10월 하순, 채유용 대두는 12월 중순, 사료용 옥수수는 10월 중순 사용물량까지 재고를 확보하고 있고 주요 곡물 계약, 국내 도입 등 원료 수급에 아직까지 큰 차질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밀 수출을 금지한 인도의 경우 전 세계 밀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고 국내 밀 재고 보유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 수급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평가다. 다만 국제곡물 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밀가루, 사료, 대두유 및 전분당 등 제품 가격 상승 요인은 많은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미국·브라질 등 주요 수출국 작황 불안 등 국제곡물 시장 불안요소가 지속되고 있어 국내 물가 부담 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농식품부는 이와 관련 사료‧식품업체 원료 구매자금 금리 인하와 사료곡물 대체 원료 할당 물량 증량 등을 조치했으며, 축산농가 등의 부담 완화를 위해 이번 추경에 축산농가 특별사료구매자금 등을 편성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축산농가 지원을 위한 단기 조치와 함께 안정적인 식량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도 병행할 것”이라며 “농식품부 내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전담반 및 식량공급망 위기 대응반을 운영해 중장기 대응 과제를 검토하고 전문가,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세부 과제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