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 인도 밀 수출 금지 등 국제곡물 시장의 변수가 생겨난 가운데 국내 원료 수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 이란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월 25일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국제곡물 수급대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국내 관련 업계와 협회, 제당업체, 곡물 공급상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수산식 품유통공사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했으며, 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국제곡물 시장 상황이 불안정하나 식용 밀은 10월 하순, 채유용 대두는 12월 중순, 사료용 옥수수는 10 월 중순 사용물량까지 재고를 확보 하고 있고 주요 곡물 계약, 국내 도입 등 원료 수급에 아직까지 큰 차 질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미국ㆍ브라질 등 주요 수출국 작황 불안 등 국제곡물 시장 불안요소가 지속되고 있어 국내 물가 부담 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 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축산농가 지원을 위한 단기 조치와 함께 안 정적인 식량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도 병행할 것” 이라며 “농식품부 내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전담반 및 식량공급망 위기 대응반을 운영해 중장기 대응 과제를 검토하고 전문가,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세부 과제를 구체화할 것”이 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