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지난 22일부터 전면 실시됐다. 이는 쇠고기 안전관리의 결정판이라는 점에서 ‘2009년 6월 22일’은 우리 축산사에 획을 긋는 날이 됐다. 우리 축산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한마디로 위기 극복의 역사라고 해도 좋을 만큼 많은 위기 속에서 성장해 왔다. 특히 2000년대 들어 구제역 발생과 2003년 미국발 광우병 파동, 닭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발생 등 줄이은 축산식품의 위생과 안전에 관한 사건은 우리 소비자들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우리 축산업계로서는 그 이전의 어떤 위기와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위기에 굴하지 않고 축산식품의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선진화함으로써 위기를 기회로 바꾸었다. 항생제의 사료첨가 대폭 제한이 그것이었고, 농장에서 가공 유통 소매 단계에 이르는 HACCP의 도입이 그것이었다. 특히 쇠고기 이력추적제 전면 실시는 쇠고기의 안전성을 더욱 확실히 담보하는 제도로, 우리 축산의 수준을 한꺼번에 몇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 몇 가지 의미있는 사실로 설명된다. 첫째, 쇠고기의 이력에 대한 역추적이 가능하다는 그 자체가 갖는 의미다. 즉 최종 소비단계에서 인수공통전염병 등 문제가 발생됐을 경우 신속하게 역추적이 가능함으로써 문제의 근원을 쉽고 빨리 찾아 피해가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조기에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도축과정에서 모든 소의 유전자 정보 확보가 갖는 의미다. 이는 쇠고기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둔갑 등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소비자가 한우 고기로 알고 구매했는데 그것이 믿기지 않는다면 구입한 고기의 고유번호와 떼어낸 살점을 등판소에 보관된 유전자 정보와 동일성 검사를 실시할 경우 3일 이내에 판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동안 쇠고기 유통의 가장 큰 문제는 불신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입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하는 일이 잦은 유통체제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은 뻔하다. 한우고기로 속고 구입할 바엔 아예 수입쇠고기를 구입하겠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이력추적제 실시로 쇠고기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심쩍으면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갖추고 있으니 쇠고기 거래에 있어 신뢰는 그 만큼 높아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셋째, 이력추적제 전면 실시에 따른 각종 기본 정보가 개량이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쇠고기 수급을 위해 부가적으로 활용이 가능함으로써 우리 축산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쇠고기이력추적제 전면 실시가 갖는 의미는 크고 분명하다. 그러나 이런 제도를 갖추기 위해 우리가 감수해야할 부담도 적지 않다는 것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도축 가공은 물론 유통 과정에서 추가적인 인력과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생산단계에서도 정확한 이력 정보를 제대로 확보하고 관리하기 위한 비용도 간과할 수 없다. 또한 부분육 유통과정에서 고유번호가 제대로 정확하게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것이냐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성공적으로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가공 유통 관련 업체들의 추가적인 비용부담, 그에 따른 땀과 노력을 이해하고 동시에 관련 종사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신뢰가 요구된다. 결국 쇠고기이력추적제는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서로 신뢰하는 가운데 비로소 성공을 말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