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가 통계청의 우유생산비 산출기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업계의 대응이 주목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13일 ‘원유가격연동제 개선 위해 통계청 우유생산비 신뢰도 제고 선행 돼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발표하고, 우유생산비 산출방식 및 원유기본가격 산출기준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2012년 이후 생산비를 증가시킨 주요 비목은 자가노동비와 가축상각비로 기준 변경에 대한 충분한 합의가 있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자가노동비와 가축상각비는 각각 최근 3년 동안 36원, 38원씩 증가했다. 또한, 우유생산비에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이중 적용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낙농업계에서는 합리적인 기준이지만, 낙농업계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통계청 우유생산비 기준은 자가노동비와 가축상각비 모두 국내 낙농현실을 감안해 개선된 것이다. 자칫 국내 낙농가의 욕심으로 인해 과도한 기준이 만들어진 것으로 비춰질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