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진청, “마이크로바이옴, 농축산 내일을 여는 핵심 열쇠”

미래대응 전략 수립 심포지엄 개최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 24일 전북 남원 소재 스위트호텔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미래대응 전략 수립’이라는 주제로 마이크로바이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오타, Microbiota)과 유전체(지놈, Genome)의 합성어로 주어진 환경에 서식하거나 다른 생물과 공존하는 모든 ‘미생물의 총체적인 유전정보’ 또는 ‘미생물군’ 자체를 의미하는 말이다.
심포지엄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의 미래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분야별 초청강연과 토론으로 진행됐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서울대학교 천종식 교수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 및 산업적 동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으며, 축산분야는 부산대학교 김병후 교수가 ‘축산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동향 및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그 외에 연세대학교 김지현 교수와 고려대학교 박우준 교수, 충북대학교 한남수 교수도 각각 농식품분야, 환경분야 등에 대해 발표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단일 미생물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식물의 치료, 고품질 식품 생산, 인체 건강 향상, 환경문제 해결 등 무한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선진국에서는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기술적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소개했다.
농진청은 이와 관련 농산업 전반에 걸친 농업의 디지털화와 함께 미생물의 과학적 이용과 관리에 대한 연구로 마이크로바이옴의 분석과 활용, 발효 종균 등 유용미생물 발굴과 이용, 동식물의 병원성 미생물 제어기술 개발 등 연구를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