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무관세 파고, 얼마든지 넘을 수 있다

국가별 FTA 발효따라 ’26년부터 본격적 해제
국내산 경쟁력, 축산 부정적 인식 개선서 출발
‘작지만 강한’ 네덜란드 축산업서 가능성 확인
농가 의식·정부 의지·소비자 공감 뒷받침돼야

국가별 FTA 발효따라 ’26년부터 본격적 해제
 국내산 경쟁력, 축산 부정적 인식 개선서 출발
‘작지만 강한’ 네덜란드 축산업서 가능성 확인
 농가 의식·정부 의지·소비자 공감 뒷받침돼야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관세 제로화 시대, 한국 축산이 가야할 길은 어디인가. 과연 길은 있는 건가.
40%의 관세 부과에서 시작한 쇠고기의 경우 한미 FTA 발효이후 올 미국산 쇠고기 관세율은 18.6%, 2020년 16.0%, 이후 매년 단계적으로 낮아져 오는 2026년에는 0%가 된다. 호주산 쇠고기의 관세율은 2019년 24.0%, 2020년 21.3%이며, 2028년에는 0%다.
냉동 삼겹살에 25% 관세를 부과하던 것에서 미국산은 이미 0%로 수입되고 있으며, EU산 냉동 삼겹살은 2019년 4.5%, 2020년 2.3%, 2021년에는 0%가 된다.
이처럼 관세 제로 시계는 이미 짜여진 시간표대로 흘러가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와 축산업계에서는 이에 대응한 어떤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좀처럼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다.
일부에서는 위기의식이 없는 게 위기라는 말을 하고 있을 정도다. 그동안 축산물 가격이 위기의식을 수면 아래로 잠재우지 않았나하는 분석을 내놓고 있지만 잘 나갈 때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관세 제로화 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축산 전문가들에 따르면 수입육보다 높은 가격을 합리적으로 낮추면서 품질은 더욱 높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지금까지 한 것보다도 더 치열하게 생산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으로 원가를 낮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가격 저항력을 줄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품질 차별화가 됐든 브랜드 차별화가 됐든 차별화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도 덧붙인다.
그렇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우리 축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냄새와 질병문제의 근원적 해결 없이는 선진 축산으로 가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한 해결책도 있음을 제시한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네덜란드에서 답을 찾을 것”을 권유한다. 우리보다 축산 환경이 열악한 조건속에서도 축산자급률이 무려 250%로 150%는 수출하고 있음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남성우 전 농협대학교 총장 역시 축산 후계자 문제를 풀어줄 세제 문제 등 각종 제도를 개선할 것을 지적한다.
정부의 축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와 소비자들의 축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그리고 축산인들의 ‘하면된다’는 자발적인 목표의식이 합쳐지면 우리 축산업은 관세 제로 시대에서도 얼마든지 든든한 대한민국의 한 산업으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는 전문가들을 통해 우리 축산의 희망을 그려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