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토종닭산업 발전 위한 정책 청사진 마련돼야

[축산신문] 

조명옥 부회장(한국토종닭협회)

2020년 상반기 토종닭 산지시세를 보면 예년보다 강세인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지시세의 강세는 코로나19로 인한 보양식 소비의 약진이 토종닭 산지시세를 일부 견인한 영향도 있다. 하지만 사실은 2019년 하반기부터 토종닭 병아리의 입추가 줄어든 것이 상반기 토종닭 가격의 상승을 야기시켰다. 시세 강세가 소비 확대에 기인하기보다 공급 부족이 원인이다.
결국 이는 토종닭 시장이 축소됐다는 것의 반증이다.
최근 몇 년 새 토종병아리 분양은 정체기에 접어들었고 소비 위축을 비롯한 사육기간·출하체중 증가 등 산업이 처한 과제가 산적하다.
토종닭은 순계를 보유한 가축으로 향후 종자 전쟁 시대에 국가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축종이다. 종자에 대한 가치 재인식과 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한 재고가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이 일에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