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

여성, 우유 섭취 적으면 근감소증 위험률 증가

국내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 근감소증 환자
우유 섭취량 적은 여성 노인 발병률 1.4배 높아

[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우유섭취가 적은 여성일수록 근감소증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밝혀졌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근력을 감소시켜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계란·우유·고기 등 고단백 식품 섭취가 부족한 노인에게서 발병 위험이 높은데, 불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노인의 근육 단백질 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노인에게 있어 단백질은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쌀 기반의 식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는 국내의 경우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기란 쉽지 않다. 실제로 국내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은 근감소증 환자로 분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최근 연성대 식품영양과 임희숙 교수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3천350명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근감소증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 노인 그룹에서 고단백질 공급원인 우유를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근감소증 여성의 우유 섭취량은 하루 32.3㎖로,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70.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식사의 다양성도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또한 1일 우유 섭취량이 최소(30.1㎖ 미만)인 여성 노인의 근감소증 발생 위험은 1일 우유 섭취량이 최다(51.9㎖ 이상)인 여성 노인보다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감소증이 있는 남성 노인은 호두·아몬드 등 견과류와 씨앗류·육류·우유 섭취량은 근감소증이 없는 노인보다 현저히 적었으며, 하루 고기 섭취가 가장 적은 그룹(31.1g 미만)의 근감소증 발생 위험은 하루 고기 섭취가 가장 많은 그룹(55.3g 이상)의 남성 노인보다 1.8배 높았다. 
임 교수는 논문에서 “근감소증은 나이·질병·운동·유전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지만 특히 식사의 다양성이 근육량 감소의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근감소증은 여성의 우유 섭취 부족, 남성의 고기 섭취 부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