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주춤해진 동약 수출…돌파구 찾아야

매년 두자릿수 성장 기록하다 최근 3년간 둔화…지난해 뒷걸음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가격경쟁력 제고…신시장 개척·전략품목 육성을 


동물약품 수출에 탄력을 붙여줄 신시장 개척, 전략품목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곽형근)에 따르면 지난해 동물약품 수출액은 총 3천499억5천만원이다. 전년 3천499억1천만원과 거의 같다.

미화기준으로는 지난해 총 2억9천만불을 수출해 전년 3억불보다 오히려 1.3% 줄었다. 2년 전으로 되돌아갔다.

지난 10년 사이 매년 평균 10% 이상 성장했던 것을 떠올리면, 이 수치가 꽤 어색하다.

동물약품 수출은 2011년 1억불, 2015년 2억불, 2019년 3억불 등 4년마다 앞자리 숫자를 바꿔왔다. 폭발적이라는 말이 부족할 정도였다.

이 때문에 조금 있으면 10억불 수출도 가능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최근 3년 내를 돌이켜보면 기세가 확연히 꺾였다.

2018년 성장률은 7.2%, 2019년 성장률은 3.3%에 그쳤다. 그리고 지난해에는 이렇게 후퇴하고 말았다.

왜 그럴까. 

지난해의 경우, 수출 주요국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산되고, 코로나19에 따라 무역이 차질을 빚는 등 수출여건이 악화된 탓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이미 수출 시장 역시 정체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국,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기존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시장에서 탈피해 중국, 유럽 등 신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특히 중국 시장이다.

중국 시장의 경우,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 아니라 한국과 한국산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 만큼 충분히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하지만, 수년 째 여러 업체 도전이 번번히 고배를 마시면서 슬슬 지쳐가고 있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이에 대해 중국 시장 진출에 다시한번 고삐를 바짝 움켜잡아야 한다는 응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럽 시장에 대해서는 동유럽 공략 후 이를 발판으로 유럽 전역으로 영토를 확대해야 한다는 전략에 힘이 실린다.

아울러 가격경쟁력으로는 더 이상 중국, 인도 등 후발주자 추격을 따돌릴 수 없다며, 특화된 제품과 품질경쟁력으로 차별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많다.

그 과정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전략품목 육성 사업,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연구과제 등을 확대해 동물약품 업체들에게 연구개발(R&D) 투자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의견이 나오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