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축산, 기후위기 주범 몰이…왜곡·침소봉대 선동적 발언 속출
“축산업 규모 축소 필요” 이구동성…축산업계 긴밀대응 절실
거짓과 사실 왜곡을 앞세운 동물보호단체들의 축산업 때리기가 지속되고 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비례대표)은 지난 10일 ‘기후위기시대 축산동물을 말하다’라는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 기후위기의 주범을 축산으로 몰아세우며, 축산업 축소를 포함한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축산업계 관계자들의 참여 없이 동물보호단체들만 모여 진행된 이번 토론회에는 축산업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채식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동물권위원회 홍순영 집행위원장은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지만 육식 위주 식단은 정부와 축산업계의 여론으로 형성된 것으로 대규모 밀식으로 동물을 학대하고 학살하는 것이 인간의 본능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정부의 잘못된 축산진흥정책으로 축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대규모 축산이 자리잡게 되었으며, 밀집사육농장에서 전염병이 창궐할 때마다 대규모의 살처분 예산이 쓰이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행동비건네트워크 조길예 대표도 “지구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온실가스를 급속하게 감축하는 것이 시급한데 단일산업 영역으로 축산업이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많다”며 “육류 소비가 높은 이유는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불필요한 광고와 홍보가 있는 만큼 어린이들에게 음식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육류 광고규제로 소비를 줄이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물보호단체의 축산 때리기는 이후에 진행된 토론회에서도 계속됐다.
국회의원 연구단체 동물복지국회포럼이 농림축산식품부, 동물권행동 카라, 한국법제연구원 등과 함께 개최한 동물보호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농장동물에 대한 학대 문제가 지적됐다.
동물권행동 카라 조현정 활동가는 “농장동물들의 생명은 축산업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보호받지 못하고 농장주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학대가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잘못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 사실 왜곡과 선동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가 발표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보면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은 727.6 CO2eq다. 이 중 전환 부문이 269.6, 산업 부문이 260.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온실가스와 탄소중립 움직임에 축산업도 함께 가야 한다는 점은 공감하지만 사실을 왜곡‧확대해석 하면서까지 특정 산업에 가하는 무차별적인 비난은 도가 지나쳤다는 평가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