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논단>축산현안 해결, 집단지성이 필요하다


양 창 범 석좌교수(제주대학교)


지난 1월 28일자 축산신문 1면 톱기사로 ‘한국축산, 농업농촌의 희망’이라는 제목과 함께  ‘축산 총생산액, 농업 전체 비중의 41% 육박할 듯’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이러하듯 농업분야에서 축산의 비중은 해마다 40% 내외를 유지하면서 대내외적으로 축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축산인들의 자긍심을 지탱하여 오고 있는 산업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축산인들은 새해 벽두부터 현안 해결을 위하여 거리로 나서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늘 도전과 응전의 반복일지라도 축산현안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과 축산현장의 평화는 이룰 수 없는 것일까? 

우선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일어나는 축산 관련 이슈를 살펴보자. 배양육의 용어 정의와 안전성 문제, 탄소중립 선언과 축산이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이라는 문제,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 감사원의 ‘가축분뇨 관리’ 감사, 낙농제도 개선 등 우리나라 축산을 위협하고 어려움을 예고하는 현안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그간 이러한 정책 또는 국내외 축산현안에 대응하기 위하여 축산단체, 학계, 농가 등에서 나름대로 많은 희생과 노력을 경주하여 온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조금 더 항구적이고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보다 진화된 전략과 대응논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집단지성이다. 집단지성(集團知性)이라 함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을 해서 얻게 된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전문가 집단이 아니더라도 다수의 일반인들이 다양한 의견을 낼 경우 전문가들의 의사 결정보다 훨씬 더 값진 의견을 구성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집단지성의 장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사례로 곤충학자인 윌리엄 모턴 휠러교수가 개미를 관찰한 결과에서 제시한 것으로, 개미는 미약하지만 공동체를 이루어 협업을 할 경우 개미집과 같은 위대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축산현안을 잘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집단지성을 만들어 낼 것인가 하는 고민과 대안을 생각해보자. 

첫째로 축산단체간 현안에 대한 유기적인 정보 공유와 대응력 제고를 위해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의견 수렴의 폭을 넓혀 더욱 강건한 집단의 힘을 발휘해 야 할 것이다. 그간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등을 통한 성명서 발표와 대안 제시 등이 이루어져 왔으나, 관련 현안을 타개하기 위한 협상전략과 논리 제공에 대한 협업과 지혜의 응집에 부족한 면이 있지는 않았는지? 축종(직능)별 단체간 이해관계로 축산발전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한 아쉬운 점은 없었는지? 새해에는 재점검과 성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로 축산관련 단체의 어려움 해결과 정부 또는 지자체의 정책 시행에 대한 문제점을 사전에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논리를 제공하고 협력하는데 중요한 동반자가 학회 등 학술연구단체라고 생각한다. 학회(원)의 구성은 대학 또는 연구기관 등 주로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학회와 축산단체(현장)간 동지적인 역할 또는 상생의 길로 조화롭게 걸어오지 못한 데엔 여러 가지 사정이 있겠으나, 한마디로 정리하면 서로가 조력자 역할이 미흡함에 있다고 본다. 축산단체에서는 학회가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보다는 학술적인 면에 치중하여 농가에 필요한 기술과 정책을 역동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농업연구자는 자신들이 속한 경제와 사회의 문제를 끊임없이 파악하고 분석하며 해결방안을 제시하면서 문제해결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관련 단체에서도 이러한 연구집단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필요할 것이며, 특히 학회 등 학술 관련 집단에 물심양면의 지원과 동지애를 발휘하여 현장과 정책에 필요한 기술과 대안을 집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로는 농림축산식품 관련 정책을 도출하고 집행하는 데에도 집단지성의 중요성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정책을 입안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목적(취지)은 온당하나 수요자가 주어진 여건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 내재 되어 있다면, 내용과 속도를 조정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자세도 필요하다. 또한 축산 관련 법규를 정함에 있어서 하나의 문장과 한 단어가 주는 파급효과를 잘 인식함은 물론 천직으로 가축을 기르는 축산농가의 소박한 의견을 불만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겸허히 수렴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끝으로 노파심에서 첨언을 하자면 축산업은 규제의 대상이 아닌 국가 핵심 어젠다(agenda)인 식량안보와 탄소중립 등을 실행하는 진정한 주체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안 과제를 슬기롭게 풀어나가기 위해서 축산인들도 ‘나보다 똑똑한 것은 우리’라는 생각으로 관련 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여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임인년 한해도 한국 축산의 웅비를 기원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