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환경 개선·생산 안정 위한 제도적 뒷받침
규제일변 정책으로 산업미래 보장 어려워
사료가격이 올랐다.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축산 현실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는 하지만 농가나 협회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이 한정적이라는 사실에 무력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사료가격 인상이 이번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곡물가격이 요동을 치고, 해상운임 또한 급상승하고 있다. 가격은 더 상승하게 될 여지가 크다. 생산현장에서 이것을 감당해야 할 농가들의 한숨소리가 여기까지 들리는 것 같다. 한우협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우산업전환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우산업전환법은 내용상 그 동안 협회에서 도입을 강조해왔던 것과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전환'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것은 한우협회와 한우농가들 스스로도 변화의 의지를 가지겠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함이다.
또한, 축산현실을 감안한 환경문제와 농가생산안정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법으로 보장하지 않고서는 한우산업의 미래를 그려나갈 수 없다는 절실함이 있다. 임기 내에 이 문제를 반드시 관철시켜야 한다는 생각이다.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은 당장의 구급조치가 아니라 병든 부분을 도려내고, 새살이 돋을 수 있도록 약을 바르며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다. 규제일변도의 정책으로서는 산업을 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