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위드 코로나 이후 한우산업은 수급 불균형이 우려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농협한우국(국장 윤용섭)은 최근 그간 코로나19로 한우는 반사이익을 받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위드 코로나 이후 상황은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고 한우월간레포트를 통해 전망했다.
특히, 2023~2024년의 도축두수는 가격이 급락했던 2013년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공급량 증가가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도축두수 전망치는 2023년 93만7천두, 2024년 101만8천두이며, 2012~2013년 도축두수는 84만두(2012년), 96만두(2013년)였다.
이에 대해 한우국은 수급안정화를 위한 사육두수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육두수 수급은 교배 및 사육시간이 소요되므로 반드시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아울러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능력 경산우 비육지원사업과 한우협회에서 추진하는 저능력 미경산우 비육지원사업에 농가들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한우국은 전체농가의 9%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100두 규모 이상의 농가가 사육두수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농가의 자율감축 노력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사육규모 100두 이상 농가는 약 8천호이며, 이들이 사육하고 있는 한우는 전체의 41.2%를 차지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