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최근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가축개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
외형심사나 혈통관리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우량 개체를 선발하고, 이들에 대한 후대검정으로 선발과 도태를 반복하는 것이 지금까지 우리나라 반추가축 그 중에서도 번식암소 개량방법의 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농장의 기록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했고, 개체 등록과 이력 관리로 해당 개체 및 계통의 능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 방법으로 우수한 유전능력의 번식우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만큼 어렵고 힘든 것이 개량이라고 농가들은 입을 모은다.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것은 개체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해 그 자료를 개체선발에 참고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해 많은 학교와 관련 기관 및 업체 등이 농가와 지자체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앞서 언급한 방식보다 몇 배 이상 효율적이라 말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실행 주체 간 과도한 경쟁이 일어나기도 하고, 이로 인해 크고, 작은 마찰도 생기기도 한다.
한 설명회 자리에 나선 담당자가 타 기관의 기술을 평가절하하고, 비방하는 모습을 보면서 문제의 심각성이 느껴졌다.
유전체 분석을 활용한 개량은 분명 주목할 만한 기술이다. 하지만 유전체 자료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다수의 전문가들은 말한다.
유전체 분석사업은 이미 성급한 선택과 확신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보여준 실패사례도 있다. 눈앞의 이익을 위해 과도한 경쟁을 벌일 것이 아니라 무엇이 우리 축산업 발전을 위해 어떤 자세가 필요한 것인지 업계 전체가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공무원 및 담당자들은 관련 내용에 대해 좀 더 공부해야 하고, 시행 주체들은 스스로 얼마나 잘 준비가 돼 있는지에 대해 냉정하게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몇 년 전부터 유전체 분석을 현장에 활용하고 있다.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린다. 안타까운 일이다.
이 기술이 우리 축산업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잘 정착하도록 하는 것 또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농가나 담당자는 기술을 맹신하기보다는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기초로 평가해야 할 것이며, 이와 관련된 모두가 함께 문제를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어느 누구의 사익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 축산업을 위한 것이고,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공익적 사업이다.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무거운 책임감과 양심을 갖고 일해 주시길 거듭 부탁드린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