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 산업에서도 우루사 바카스 나올 수 있다.

강환구 교수(세명대학교 동물바이오헬스학과)

[축산신문 기자] 2020년 동물약품 세계 시장은 3만6천700만달러(약 45조원)다. 최근 5년간 평균 5% 이상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시장은 약 9천억원이다. 같은 기간 동안 평균 8.9% 성장했다. 규모에 있어서 내수시장은 세계동물약품 시장의 2%다.
수출규모는 2000년 1천479억원에서 2021년에는 4천252억원으로 증가됐다. 내수시장 성장보다 더 빠르다.
우리나라 동물약품 전체 매출액은 약 1조3천480억원이다. 여기에 종사하는 기업은 1천15개이며, 기업 평균 매출액은 약 14억원으로서 매우 영세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업들이 생산하는 품목은 1만7천608품목에 달해 제품의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다.
문제는 또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제조사의 매출 규모 대비 R&D 투자비율을 2015년 4.7%에서 2020년까지 7.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지원키로 했다.
그러나 R&D 투자 비율을 높일 지라도 이러한 규모는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신약개발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국내 제조사와 경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의 매출규모와 R&D 투자비율(최고 8%)을 고려할 때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위기가 많을수록 경쟁에서 살아남는 저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동물약품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정부의 강한 의지와 함께 수출산업으로 성공한 경험이 있다.
아울러 이를 뒷받침해주는 우수한 바이오 기술들이 동물약품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 One Health의 확장과 함께 최근 들어 반려동물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 호재다.
이제부터라도 대한민국의 경제규모에 걸맞은 동물약품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보다 전략적이고 선택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매출 1천억원이 넘는 기업의 육성을 통해서 R&D투자로의 선순환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별로 백화점식 품목을 대폭 정리하고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이 브랜드를 중심으로 매출 1천억원을 넘는 기업을 빠른시기에 만들어 내는 것이다. 
리딩 기업이 생기면 다른 기업들도 이들 대열에 동참을 하게 되고 머지 않아 동물약품에서도 신약의 개발과 수출이 이루어질 것이다.  
농약의 경우에도 동물약품처럼 많은 회사들과 제품들이 난립하는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경쟁력이 있는 기업과 제품이 농약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5년 이내에 매출 1천억원이 넘는 3개 이상 기업과 기업별로 3개의 대표 브랜드를 수출 품목으로 가질 수 있었으면 한다.
인체 의약품 제조사의 경우에 대웅제약 우루사, 광동제약 우황청심원, 동아제약 바카스처럼 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가 명확하게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동물약품 제조사의 경우에는 이러한 대표 브랜드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동물약품 산업에서도 인체의약품 사례처럼 기업의 노력과 더불어 관련 기술력을 가진 연구인프라와 기업이 협력을 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지속적이고 과감한 R&D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반려 동물약품의 개발 지원과 품질관리를 위한 국가 인프라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반려동물 의약품은 인체의약품을 수의사의 처방에 의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과 동물간에는 약품의 대사 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사람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약물이라도 동물에서는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반려동물이 노령화되면서 고혈압, 심장병, 치매, 당뇨병, 관절염, 피부염 등의 대사성 질병들이 증가하고 있다. 
민간의 제품개발 노력을 지원하고 이들 제품들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 심사 인력풀을 확보해야 한다. 아울러 인허가를 담당하는 부서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신기술이 동물약품 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
국내에서 동물약품을 인허가 받으려면 제조시설의 확보와 복잡한 인허가 자료가 필요하다. 때문에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들의 동물약품산업 진출이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기존의 기업들을 보호하는 정책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벤처기업들이 좀 더 쉽게 동물약품 산업으로 진출을 할 수 있도록 인허가 제도를 개선해 기존 기업들과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출 경쟁력있는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고 우수 동물약품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해 가야 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