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최윤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축산바로알리기연구회장)
한국인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 당뇨병 직결
축산물·우유 적당량 꾸준히 섭취 시 예방 효과
축산식품이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있다. 이는 축산식품을 통한 동물성 지방을 과다 섭취할 경우 신체 세포들이 인슐린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는 오류에서 유래한다. 또는 우유의 높은 유지방 함량이 제2형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편견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실일까.
검증 내용
1. 한국인의 경우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원인은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 때문이고, 축산식품 또는 동물성 지방 때문이 아니다.
당뇨와 관련해서 주요 원인은 동물성 지방이 아닌 탄수화물 섭취량이다. 이미 많은 연구들은 지방과 단백질 중심인 축산식품 대신 탄수화물(전분, 설탕등 각종 당류) 중심으로 열량 섭취를 이어갈 경우 제2형 당뇨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늘날 한국인의 탄수화물 일일 섭취량은 307.8g으로 이는 미국국립의학연구소에서 권장한 일일 필요 탄수화물 양의 3배 가까이 되는 양이다. 특히 50세 이상 중장년층의 평균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약 70%이상에 달하는 현실에서 당뇨병의 주요 원인을 탄수화물이 아닌 축산식품에 전가시키는 것은 옳지 못하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당뇨병 예방을 위해서는 탄수화물 권장 섭취 비율을 60%에서 40% 정도로 줄이고 오히려 지방의 섭취를 40% 정도로 늘려야 한다고 본다.
2. 건강하게 조리된 축산식품의 동물성 지방은 장내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오히려 당뇨병을 예방해준다.
최근 연구들은 축산식품 섭취를 통해 이루어진 장내 미생물의 변화가 인슐린의 신호효과와 면역 시스템을 조절하여 당뇨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다. 2014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과 영국 국가의료연구위원회 연구팀은 요거트, 치즈와 같은 유제품에 포함된 지방은 오히려 당뇨병을 발병시킬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같은 지방이라도 튀긴 음식이나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통해 형성된 비만은 기존의 인식처럼 당뇨병과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축산식품 섭취를 습관화하면 항상성 기작을 유도시켜 오히려 장년기 당뇨 예방에 도움을 준다.
축산식품 중에서도 우유에 포함된 높은 함량의 유지방이 제2형 당뇨병을 일으킬 것이라는 편견도 있다. 그러나 우유를 꾸준히 마실 경우 오히려 신체 내 항상성 기작을 발달시켜 당뇨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그러한 편견이 잘못된 것임을 반증한다. 축산식품과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오히려 우유 및 유제품을 섭취할 시 당뇨병 위험지수가 0.85,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약 15%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해야 할 것은 항상성이 단기간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가능한 이른 시기부터 우유를 꾸준히 마시는 습관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체내 항상성 기작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장년기 당뇨 예방을 위해서는 가능한 이른 어린 시절부터 유제품 섭취를 습관화할 필요가 있음을 권고하고 있다.
검증 결과
축산식품은 당뇨의 주원인이 아니다.
많은 연구들은 축산식품이 당뇨병의 주요 원인이 아니며 올바른 조리 방법으로 동물성 식품과 식물성식품을 균형된 비율로 적당량을 섭취할 경우 오히려 당뇨병 발병률을 낮춰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능한 어린 시절부터 축산물과 우유 및 유제품을 적당량 꾸준히 섭취하는 경우 당뇨병 예방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 자료
Malik, V. S.et al., Adolescent dairy product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94, 854-861 (2011년)
보건복지부,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2020년 12월 22일 배포)
Dr Nita G Forouhi et al., “Differences in the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plasma phospholipid saturated fatty acids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the EPIC-InterAct case-cohort study”, The Lancet Diabetes and Endocrinology (2014년)
“Some saturated fats could help protect against type 2 diabetes, study finds” (The Guardian, 2014년 8월 5일)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