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농업기술길잡이

  • 등록 2022.10.12 10:50:39


[축산신문]

(2) 착유로봇의 유두인식 방법 및 특징

착유로봇이 일반 산업용이나 농업용 로봇과 다른 점은 자기 의지를 가지고 움직이는 젖소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착유로봇의 핵심기술은 젖소의 유두를 검출하는 데 있다. 젖소의 유두 검출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유두 접촉식, 레이저, 초음파, 광차단센서 등 다양하다.

(3) 착유로봇의 전망
착유로봇은 동물의 복지를 향상하고 노동력을 절감한다는 목표로 개발이 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착유로봇에 적합하게 선발된 젖소를 대상으로 해도 착유컵 장착 성공률은 95% 정도이다. 따라서 보다 완벽한 착유로봇의 개발을 위해서 선진국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축산기술연구소와 성균관대학교가 공동으로 1998년부터 착유로봇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이후 로봇착유 유닛 착탈장치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것을 제외하고는 착유로봇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동물의 복지에 관한 관심은 적지만, 노동력 절감과 착유량의 증가를 위해 앞으로 많이 도입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병행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착유로봇의 개발도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5. 착유기 및 사양관리기구

가. 착유기
(1) 착유기의 원리
송아지가 어미젖을 빨 때에는 유두를 입에 물고 혀로 유두를 자극시키면서 입안을 진공으로 만들어 젖을 빨아낸다. 착유동작은 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되지만, 흡인압력은 20~40cm/Hg이고, 매분 30~50회 반복된다. 기계착유는 입으로 젖을 빠는 상태나 손으로 젖을 짜는 동작과 같이 착유컵에 유두를 넣고 착유컵 내 라이너(liner)를 작동시켜 자극, 흡인, 휴식 등의 동작을 반복하며 젖을 짜는 방식이다.
유두에 착유작용을 주는 부분을 티트컵(teat cup)이라고 하는데 이 것은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외통(teat cup shell)과 고무질 라이너로 이루어져 내외 2실로 되어있다. 라이너의 내부는 밀크크로우(milk claw), 착유통 및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있으며, 항상 일정한 진공압력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티트컵은 유두에 흡착되어 있으며, 착유된 우유는 착유통 내로 흘러 들어간다. 외통과 라이너 사이에는 펄세이터(pulsator)에 의하여 대기압과 진공압이 교체된다.

(2) 착유기의 종류
1) 바켓형 착유기
착유한 우유를 착유통에 모으는 방식의 착유기를 바켓형 착유기 라고 한다. 우사 바닥에 놓고 작업하므로 정치형이라고도 하며, 소규모의 낙농가에서 많이 사용한다.
2) 파이프라인 착유기
낙농규모가 커질 경우에는 착유, 우유 이송, 저유, 반출 등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적합한 방법으로 개발된 것이 파이프라인(pipeline) 착유기인데, 이것은 착유와 동시에 우유가 착유통을 거치지 않고 직접 파이프를 통해 저유탱크로 들어가 냉각 보관하고, 집유 시에는 우유 수송탱크의 펌프로 흡입시켜 넣는 착유 방식을 말한다.

<자료 : 농촌진흥청>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