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돈협회가 현행 돼지 등급판정 제도를 ‘자율등급제’ 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돈협회는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국정감사에서 돼지 등급판정 기준에 대한 양돈업계의 입장을 묻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일부 여야 국회의원들의 서면 질의에 대해 이같이 의견을 전달했다.
한돈협회는 우선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돼지 등급판정을 의무화 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정부가 획일적으로 규정한 판정기준으로 인해 국내 돈육업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를 제대로 쫓아가지 못한 채 경직돼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도체등급은 전·후지에 불필요하고 소비자의 삼겹살 구입시 참고할 사항이지만 이마저도 삼겹살 한판에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품질과 낮은 품질이 공존, 한 개의 등급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현실을 그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하기도 했다.
한돈협회는 이에 따라 돈육업계에서도 시장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할 수 있는 돼지고기 자율등급제 도입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현재 ‘등외’ 등급으로 분류, 사실상 별도의 판정이 필요치 않음에도 농가에서 판정 수수료를 지출하고 있는 모돈을 아예 등급판정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도 확인했다.
반면 최근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흑돈에 대한 등급기준 신설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히며 제주흑돼지에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돈협회는 또 소매단계와 연계한 등급표시 개선 방안에 대해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삼겹살의 규격 및 지방두께 표시만으로는 소비자 만족 효과를 기대 할 수 없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