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정황근 장관이 식량산업으로서 양돈산업의 비중에 걸맞는 정책을 예고했다.
양돈업계와 ‘수평적 소통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지난 12일 세종시에 이뤄진 대한한돈협회 회장단과의 만남에서다.
정 장관은 한돈협회 회장단 접견에 이어 즉석 정책간담회 형태로 이뤄진 이날 만남에서 “우리나라 육류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이 가운데 50% 이상이 돼지고기”라며 “식량안보 차원에서라도 그 비중에 걸맞는 정책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돼지고기 생산기반 을 유지·발전시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양돈업이 농업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에 걸맞는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며 돼지의 생산, 유통, 판매와 관련된 기초 기반시설에 정부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계획을 마련해 달라는 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의 건의에 대한 답변에서다.
또 정부가 마련한 정책에 대해 양돈업계가 반응하고 수용을 종용 받는 기존의 ‘수직적 소통’ 에서 벗어나 양돈업계 스스로 필요한 정책을 먼저 제안하면 정부가 지원하는 등 소통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손세희 회장의 입장에 대해서도 깊은 공감과 함께 적극적인 협력 의사를 밝혔다.
정 장관은 특히 한돈협회의 미래 한돈인 육성사업에 상당한 관심을 표출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과 협조도 약속하는 한편 전국 양돈장에서 ASF 차단을 위한 기본적인 방역 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날 만남에서 한돈협회는 ▲민간 중심의 가축방역 체계 구축 ▲ 지속가능한 양돈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 ▲ 각종 규제개선 ▲ 사료 자급률 향상 ▲정보통신기술 (ICT) 장비 보급 및 확대 ▲권역별 도축장 확대 등 관련 기반 시설 강 화 ▲한돈자조금 사업의 자율적 운영 지원 등을 정부에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