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논단>축산교육을 위한 제언

  • 등록 2023.04.05 14:11:02

[축산신문]


이경우 건국대 교수(동물자원과학과)


최근 제26회 농업전망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에 따르면, 2022년 축산업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25조 5천억 원으로 농업생산액의 43.5%를 차지했다고 했다. 

결국, 축산의 중요성은 국가 경제에서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으며 미래에도 그러리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해결해야 할 농정현안에는 식량안보, 기후변화 등과 더불어 농촌인구 감소 위기에 따른 신규인력 유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대학교에서 흔히 듣는 현안도 농촌 현안과 별반 다르지 않다. 바로 학령인구의 감소이다. 예전에는 도시화의 여파로 농어촌 지역에 초중고 학생 수가 감소한다고 했는데, 이제 학령인구수 감소는 대학과 산업에도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전공과 수도권 대학 선호현상으로 자퇴생의 비율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할 것이 자명하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축산분야의 교육은 그동안 어떤 변화를 가져왔고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대학교의 신입생은 축산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거나 도시 출신이 대부분이라서 ‘축산’에 대한 전공탐색 또는 이해도는 아무래도 낮을 수밖에 없었다. 

80년대에 사용했던 축산학과라는 학과명은 90년대에 들어오면서 대부분 ‘동물자원과학과’나 ‘동물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했다. 최근 펫산업의 증가를 반영하듯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 관련 학과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학생들이 대학과정에서 전공탐색과 미래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교육 프로그램도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급변하는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축산인재 육성에 대학교육이 충분하게 대처하고 있는지 항상 고민하고 들여다볼 필 필요가 있다. 미래식량안보와 축산업을 담당하는 전공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2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는 대학과정에서 전공탐색을 위한 산학연 협업의 확대 필요성이다. 전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공 교과목 이수도 중요하지만, 체험을 통한 산업의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대한 해답은 바로 산업체 인턴 또는 연수과정의 확대라 할 수 있다. 

과거에서부터 동물자원 분야는 산업체(농장, 회사) 인턴을 졸업요건의 필수항목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짧게는 6개월 또는 1년 이상의 인턴과정을 교과과정에 편입해 학점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대학교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 바라볼 때 산업 분야에서 전략적으로 인턴과정을 운영하는 회사는 드물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인턴과정을 찾기도 힘들다. 

축산업의 규모에서 우리 산업의 성숙도는 높은 수준임을 고려한다면 대학생을 위한 장단기 인턴과정은 확대해야 한다. 회사에서 인턴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은 예산을 허투루 허비하는 게 아니라, 미래가치에 대한 투자임을 명심하자. 아울러, 그렇게 여기지 않겠지만 인턴과정을 절대로 무급이나 열정페이로 활용한다는 인식은 가져서는 안 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학 4년 과정에서 인턴과정을 통해 전문가로 나아가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많은 회사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둘째’는 축산분야 인력양성사업의 확대이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교육·인력양성사업 중 축산전공 대학생을 위한 사업은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아주 미약하다. 축산전공 대학원생을 위한 인력양성사업도 턱없는 부족한 것은 매한가지다.

미래 유망기술의 핵심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두뇌한국21(BK21)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농·수·축산 분야를 하나의 전공 분야로 엮어서 진행하고 있어 축산업의 규모와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과연 농·축·수산 분야는 미래 유망기술과 산업이 아닌가 자문할 필요가 있다. 동물성 단백질의 중요성은 모든 국가의 식량안보에서 최상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축산분야 대학생과 대학원생 양성사업에 정부의 확대를 기대해본다. 

학생들에게 충분한 기회의 장을 마련해줘야 한다. 학생들에게 인턴을 할 기회를 제공하고, 인력양성 사업을 통한 혜택도 중요하다. 축산은 식량안보의 최전선에 있으며, 인재양성이 나라의 경쟁력임을 잊지 말자.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