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유통마진 비중, 가격의 35%…일본의 두배 달해
국감서도 지적…무관세 대비 유통구조 개선 시급
합리적인 우유가격 책정을 위해 유통 효율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월 음용유용 우유기본가격이 오르자, 유업체들은 원재료가격 상승을 이유로 잇따라 우유 및 유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유업체들은 전기료, 인건비, 부자재 상승 등 다양한 가격 인상요인이 발생해 불가피하게 우유가격을 올렸다면서도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인상폭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이다.
그 결과 흰 우유 1천ml 제품의 경우 대형마트서 2천900원대 후반, 편의점서 3천200원대에 판매되고 있으나, 생필품인 우유의 가격이 심리적 저항선인 3천원선을 넘나들면서, 우유가격이 과도하게 높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또 높은 우유가격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외산 멸균유나 PB우유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우유시장 축소와 낙농시장의 하락세를 불러올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2026년 관세철페를 목전에 두고 외산 멸균유와 국산 우유간 가격 격차가 더욱 벌어지면 자급률이 하락할 수 밖에 없으며, 유업체 입장에서 PB우유는 마진이 거의 남지 않다보니 수익성이 떨어져 경영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상황이 이러하자, 국산 우유가격 안정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중엔 과도한 우유가격 인상의 요인으로 꾸준히 꼽혀왔던 유통 효율화도 주요 현안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주요 식품에 대해 지난해 9월과 올해 9월 사이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와 원재료가격 등락률을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우유의 경우 원재료가격 상승률이 3.1%인 반면, 소비자물가지수는 8.5%에 달했다.
게다가 10월 기준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14.3% 오른 122.03으로 1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흰 우유 가격에서 유업체, 유통업체, 낙농가가 나눠가지는 비중은 각각 23.5%, 35.6%, 40%로 유통업체의 비중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유통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
올해 부처별·분야별 주요 현안을 정리한 ‘2023 국정감사 이슈 분석 자료’ 보고서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제기됐다.
우리나라와 일본 낙농가의 마진율은 비슷한 반면, 유통단계가 상대적으로 짧은 일본은 유통업체 마진율은 약 16.75%로 두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음용유용 원유가격은 일본이 리터당 1천300원 수준으로 우리나라(1천84원)에 비해 높지만, 우유가격은 2천500원 수준으로 낮게 책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구조 개편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실질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고물가 이슈로 우유가격이 논란이 되면서 또 다시 유통마진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왔고, 이에 대해 정부가 유통 효율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번에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 우유자급률 제고를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