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3 (목)

  • 맑음동두천 24.5℃
  • 구름조금강릉 28.6℃
  • 맑음서울 25.6℃
  • 맑음대전 24.8℃
  • 맑음대구 27.7℃
  • 맑음울산 28.2℃
  • 맑음광주 25.5℃
  • 맑음부산 27.7℃
  • 맑음고창 24.6℃
  • 맑음제주 24.2℃
  • 맑음강화 23.5℃
  • 맑음보은 22.8℃
  • 맑음금산 24.3℃
  • 맑음강진군 25.9℃
  • 맑음경주시 28.5℃
  • 맑음거제 25.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농가가 덥고 습한 여름에 대처하는 방법

기고 / 김창한 기술지원과 농촌지도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등록 2024.05.17 08:58:59

지구의 기후는 다양한 자연적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적정 환경을 유지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최근 지구 온난화 등으로 기상 이변이 증가하고 있다. 올해 4월에도 일부 지역 낮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어서는 등 일찍부터 더운 날씨가 나타나면서 축산농가에서는 올 여름 날씨에 대한 걱정이 앞서고 있다. 
가축이 고온스트레스를 받으면 사료섭취량 감소, 산유량 감소, 증체율 감소, 번식효율 감소 등 생산성 저하가 나타난다. 심각한 경우 폐사로 이어져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다. 폭염기 고온스트레스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줄여 줌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한우나 젖소는 반추동물로 위가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제1위는 일종의 발효조라고 할 수 있다. 
소가 섭취한 사료는 1위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되며 이 때 발효열이 발생하는데 더운 날에는 발효열로 인해 고온스트레스를 더 받게 된다. 따라서 사료는 소량씩 자주 주고 풀사료는 5㎝ 정도로 썰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물 섭취량이 증가하므로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마실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사에 바람이 잘 통하도록 축사 주변 장애물 등은 치워주고 송풍팬을 가동하여 체감온도를 낮춰 줘야 한다. 또한 우사지붕 단열을 보강하고 차광막을 설치해 준다. 지붕 위에 물을 뿌려 환경 온도를 낮춰주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는 축사 상층부의 덥고 습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에어제트팬을 릴레이식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는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는 땀샘이 발달하지 않았고 두꺼운 지방층으로 인해 체내에서 발생한 대사열을 체외로 방출하는 능력이 낮다. 돈사 지붕에 복사열 차단재가 혼합된 흰색 도료를 칠하고, 천장과 벽은 단열 보강을 하는 것이 좋다. 단열이 잘되면 환기량을 줄일 수 있으며 돈사 운영에도 경제적이다. 또한 쿨링패드나 기화열냉풍기를 설치하면 습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외기온도 대비 3~5℃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사료는 같은 양을 주더라도 급여 횟수를 2회에서 3~4회로 늘려주면 먹는 양을 10∼15% 증가 시킬 수 있다. 신선한 물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료조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사육 밀도를 낮춰주고 돼지의 이동이나 출하 등은 덜 더운 아침이나 저녁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덮여 있고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고온에 취약하다. 기온이 올라가면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고 음수량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사료 섭취량의 2배 정도로 물을 마시나, 고온에서는 4~8배까지 물을 마신다. 신선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음수 소독을 실시하여 유해세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고온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계사 내에 바람을 일으켜 주는 것이며, 터널식 환기계사의 경우 쿨링패드를 설치해 같이 가동하면 체감온도를 추가로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붕단열이 부족한 계사는 단열을 보강하고 지붕 위에 15℃ 내외의 물을 뿌려주면 주변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사육 마릿수를 10~20% 정도 줄여 체열로 인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해주는 것이 좋다.
축사는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차단방역과 소독은 물론 모기와 파리 등의 구제도 정기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전기시설을 점검하고 먼지나 거미줄 등을 제거해 전기 화재를 예방하고, 정전에 대비해 비상발전기를 구비한다. 또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축재해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 가축 관리도 중요하지만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뜨거운 한낮에는 작업을 피하고, 먼지가 발생하는 작업이나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곳에 들어갈 때는 보호장비를 꼭 착용해 안전사고 예방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올여름 농업인은 건강하고 가축은 편안한 여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