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원장 임기순)이 전북대학교 신동현 교수팀과 축산분야 기후변화 대응 공동연구를 통해 고온 환경에서 젖소의 생체 변화를 분석하고 고온 스트레스 반응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 미생물, 대사물질을 발굴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고온 환경에서 젖소 홀스타인종의 생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육 조건을 적정 환경(기온 21~22℃, 습도 50~60%)과 고온 환경(31~32℃, 80~95%)으로 나눠 집단별 젖소의 혈액과 분변 시료를 수집했다.
채취한 시료를 다중 오믹스 분석(유전체, 전사체, 대사체, 미생물체 등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기술로 젖소 체내와 장내에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와 미생물 조성, 혈액 대사산물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고온 스트레스와 연관된 154개의 유전자와 18개의 미생물(속), 9개의 혈액 대사물질을 발굴했다고 국립축산과학원은 설명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발현량이 증가한 154개 유전자는 주로 항상성 유지와 에너지 생산, 항균 작용, 면역 및 염증 반응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고온 환경에서 발현량이 2배 이상 증가한 18개 미생물 중에는 항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테스티니모나스(Intestinimonas), 슈도플라보니프랙터(Pseudoflavonifractor) 등이 포함됐다.
이번 연구는 고온 환경에 따른 젖소의 생체 반응 기작을 확인한데 의미가 있으며 관련 유전자 등은 고온 스트레스 반응 지표로 활용할 수 있어 젖소의 한국형 가축더위지수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윤호백 동물유전체과장은 “첨단 기술을 적용해 고온 환경에서의 젖소 생체 변화를 더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다른 축종의 고온 스트레스 기작도 구명해 축종별 고온 스트레스 반응 지표와 한국형 가축더위지수 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