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물가안정 기조 변수…인센티브 개편도 관건
용도별 원유기본가격과 물량 조정이 함께 이뤄지면서 이해당사자간 셈법이 복잡하게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11일부터 원유기본가격 조정을 위한 협상 소위원회를 운영중이다.
이번 협상에선 용도별 원유량 조정도 처음 다뤄진다.
현재 농가들은 보유한 쿼터의 88.6% 미만을 음용유용 원유, 88.6~93.1% 미만을 가공용 원유로 납유하고 있다. 음용유용은 리터당 1천84원, 가공용은 887원으로 197원 차이가 나며, 가공용 원유는 인센티브가 없기 때문에 농가수취가격은 용도별로 더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음용유용 원유량이 9천112~2만7천337톤의 범위에서 감축이 이뤄지고, 대신 음용유 감축량 1.5배 이내에서 가공용 원유 증량이 이뤄질 수 있다.
우유소비 감소로 잉여유 처리에 골치를 겪고 있는 유업계로선 음용유용 원유량이 줄어들수록 부담을 덜 수 있다.
반면, 낙농가 입장에선 음용유용 원유량이 감축되면 생산비에도 못미치는 가공용 원유량이 더 늘어난다 하더라도 손해를 보기 때문에 감축폭 최소화를 원해 유불리를 따지는데 신중할 수 밖에 없다.
고물가와 물가안정에 대한 정부의 의지도 협상의 또 하나의 변수다.
올해 음용유용 원유기본가격은 리터당 0~26원 내에서 조정된다.
하지만 정부는 고물가 상황을 반영, 원유기본가격 인상을 동결하거나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조를 구하고 있다.
생산비가 오르면서 일정부분 유대에 반영되길 낙농가들은 원하고 있지만, 마냥 높은 인상폭을 주장하기엔 일부 가공조합의 여건, 우유가격을 바라보는 소비자들 시선을 무시하기란 어렵다.
시장상황을 반영해야 한다는 유업계는 정부와 같은 결일 수 있겠으나, 원유가격 인상 후 정부 압박으로 제품가격 반영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 인상폭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올해 협상에선 가격, 물량 결정 이후 인센티브 개편도 함께 진행돼 협상 구성원간 합의에 이르는 접근은 더욱 조심스러울 것이란 시각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