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기획

<지속가능 축산, 스마트팜으로 통한다> (주)엠트리센 / 딥스캔·딥피드

AI가 바꿔놓은 양돈장…‘초정밀 관리’ 실현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딥스캔, 임신돈 체형관리 실패 사전 차단
난산·사산 최소화…연산성 개선 효과도
딥피드, 다산성 모돈 최적 영양관리 제공

 

‘(주)엠트리센.’
언제부터인가 양돈농가들이 스마트팜을 이야기 하는 자리라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름이다.
비정형 객체에 대한 추론 정밀도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공지능(AI) 및 로봇틱스 전문기업 엠트리센은 세계 최초로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양돈 사육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만큼 낯설 수 밖에 없는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첫 출시작인 분만 모돈 정밀관리시스템 ‘딥아이즈’는 양돈농가들의 입소문을 타고 지난 2022년 출시 이후 벌써 100개소가 넘는 농장에 설치, 가동되고 있을 정도로 그 성능과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잇따라 공개된 딥스캔과 딥피드 역시 출시 초기임에도 국내 양돈현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을 정도로 사용농가들로 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모돈 동시급이 가능케…딥스캔
딥스캔은 임신 모돈 정밀 체형 관리 솔루션이다.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반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모돈 체형 관리 실패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한편 자동으로 종돈의 경제형질 체형을 파악, 기준체형을 제시하고 그 결과에 맞춘 사육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딥스캔은 모돈이 일어나 사료를 섭취할 때까지 이동식 고정밀 3D스캐너와 AI기술을 기반으로 모돈 체형(등각, 체장, 체폭, 둔폭)을 측정 및 분석, 모돈의 동시 급이를 통한 스트레스 최소화로 착상률 증가 및 유산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심야~새벽 시간대 모돈의 기립 횟수를 파악,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한편 분석된 체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체별 맞춤 사료량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항상 최적의 모돈 체형을 유지 관리, 분만시간 단축과 함께 난산 및 사산율은 물론 모돈의 체손실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연산성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임신기간 적절한 사료 섭취와 포유기간 충분한 사료 섭취를 유도함으로써 포유 능력 극대화와 초유 품질을 개선, 이유자돈 체중 및 자돈 면역, 생존율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했다.
체형 측정 및 사료량 조절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 의존도를 최소화 하는 반면 사료급이는 최적화, 작업자가 바뀌더라도 균일한 번식 성적 유지와 함께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사료허실 30%…딥피드
포유모돈의 사료 섭취를 정밀하게 관리, 사료 허실을 줄이고 섭취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모돈 피드 스테이션’ 이다.
모돈 머리 위의 광학식 센서가 아닌, 사료통 내부 접촉 마그네틱 센싱 기술을 적용, 사료 섭취 완료 여부를 감지 및 분석하고 다음 회차 사료급여량에 자동 반영하는 시스템이 도입됐다.
그 결과 사료 허실을 20~30% 절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료 섭취량 증가에 따른 자돈 이유 체중 증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자동 배출 스마트 먹이통을 통해 물과 함께 남은 사료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대에 자동으로 배출되며 자동 세척 기능으로 혹서기 사료의 변패까지 원천 차단, 사료 기호성을 높이고 사료통 세척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자동 급수기능 적용으로 사료 급이시 사료와 물의 비율을 20~30%로 최적화, 섭취량 극대화를 뒷받침 하는 것은 물론 ‘후방 급이기 리모컨’ 을 통해 스톨 후방에서도 수동 사료 설정 및 급이통 추가 세척이 가능한 것도 딥피드만의 강점이다.
특히 잔량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조금씩 분할 급이를 통한 섭취량 증가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딥스캔을 통해 기존 자동급이기의 한계를 극복, 다산성 모돈에 대해서도 최적화 된 영양 관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