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농협법 개정안 손질이 막바지에 왔다. 정부는 이 달 말쯤 농협법 개정안을 마련, 관계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한다. 계획대로라면 내 달 초에는 농협 개혁안이 그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농축산업계는 농협이 어떤 모습으로 개혁될 것인지 이 농협법 개정안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축산업계는 신경 분리와 함께 농협중앙회 경제사업 구조에 각별한 관심을 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농협중앙회 경제사업의 한 축을 담당할 축산경제가 축산대표 체제로 존속할 것인지 여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농협중앙회에 축산경제가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그동안 이 난을 통한 수차례에 걸쳐 강조해 왔다. 축산식품이 국민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 축산업이 국민 경제나 농촌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감안 할 때 농협내 축산조직은 더욱 강화돼야 마땅하다는 것이 축산업계나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주장이었다. 무엇보다 농협중앙회 사업 구조 개혁의 초점이 금융기관으로서 농협이 아닌, 농축산 경제를 육성 발전시키기 위한 농축산경제 대표 기관으로서 거듭나는데 있음에 비춰볼 때 대표체제의 축산경제 존속은 농축산경제 대표 기관으로서 역할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다행히 농식품부에 설치됐던 농협개혁위원회가 농림부에 건의한 농협 개혁안에는 축산업계와 전문가들의 주장을 상당부분 수용하고 있다고 하니 매우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농협 자체 개혁안이다. 농협은 지난 1일 사업구조개편중앙위원회를 설치하고 자체 개혁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벌이고 있다. 그런데 지난 8일 2차 회의에 이어 16~17일 3차 회의를 앞둔 지난 15일 현재 여러 경로를 통해 들리는 이야기는 대표체제의 축산경제 존속이 매우 위태로운 것으로 감지된다. 특히 최원병 회장은 최근 공식석상에서 축산경제 대표를 없애고 상무 두 사람을 두어 축산의 전문성을 살리겠다고 언급함으로써 동석한 축협조합장으로부터 강한 반발에 부딪힌 적이 있다. 결국 사업구조 개편의 핵심은 축산경제 대표 유지 여부다. 그런데 축산경제 대표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엄청나다. 축산경제 대표가 없는 축산경제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은 전문가가 아니라도 알 수 있다. 축산업계에서 대표체제의 축산경제 존속을 요구하며 만약 그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서명운동 등 실력행사를 불사하겠다고 나서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축산업계의 실력행사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신경분리후 농협 경제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대표체제 축산경제 조직이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아울러 최근 축산업에 대한 각종 현안이 대두되면서 “이 때 축협중앙회가 있었더라면”하고 말하는 축산인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농협 사업구조개편 관계자들은 한 번 정도 새겨 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