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경쟁력 제고·유통투명성 확보 기대 정부, 유통협회도 정책논의 대상 포함해야 “농장명 표기가 대안이다.” 강종성 한국계란유통협회 회장은 “산란일자 표기의 경우 현재 유통시스템에서는 무리다. 다만, 농장표기는 농가와 유통인 사이 책임소재를 분명히 해준다”고 농장이력제 도입을 주장했다. 그는 “품질저하 계란을 두고 소비자들은 대개 유통인에게 따져묻는다. 농장에서는 그러한 품질을 납품하지 않았다고 발뺌하기 일쑤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농장이력제를 통해 소비자들은 농장을 선택하고, 유통상인은 다른 농장에서 생산하는 계란을 함께 섞지 못하게 된다”며 농장이력제가 유통투명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계란이 GP(집하장) 센터로 갔을 때 집하장 표시를 하게되면, 이력제가 충분히 가능하다”며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강 회장은 유통업 등록을 두고서는 “올해안에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식용란판매업’이 신설될 예정이다. 이 경우, 내년부터 유통인들은 등록을 한 후 납품해야 한다. 계란유통협회는 위생교육 실시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기업의 집하장 진출에 대해서는 “대기업은 10%도 안되는 고급계란만 판매하고, 나머지 물량은 중소상인에게 떠넘길 우려가 있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표출했다. 집하장에 대해 강 회장은 “현재 생산유통가공 등의 시스템이 갖춰져야 집하장이 될 수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 시스템 상 그렇지 못한 실정에서 집하장을 더 짓는다면 과거의 집하장을 답습하게 될 것이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강 회장은 정부에 대해 “정부 정책을 논의할 때 양계협회와 농협만 파트너로 여기지 우리 계란유통협회는 배제돼 있는 상태다”라며 “앞으로 계란에 대해서는 유통협회도 정책파트너로 인정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