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가금

■기자수첩 / 자조금, 양계산업에 필요하긴 한건가

[축산신문 노금호 기자]
 
자조금이란 말은 이제 더 이상 낯선 말이 아니다. 산란계나 육계 등 닭 관련 의무자조금이 설치된 지도 어느덧 3년째다. 임의자조금의 역사까지 합치면 10년이 훨씬 넘었으니 자조금이란 말은 매우 자연스럽게 받아들여도 전혀 이상할 게 없다.
자조금의 의미는 여기서 굳이 다시 새길 필요도 없다. 축산 전업화 시대에 축산이 산업으로서 자리매김하는데 있어 자조금 제도는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무도 자조금의 존재 가치를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문제는 자조금 존재의 필요성이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 자조금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농가들이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에둘러 말할 필요도 없이 그것은 자조금 거출률 때문이다.
지난해 자조금 거출률은 산란계 자조금이 40%, 육계 자조금이 20%다. 양돈, 한우, 낙농 등 타 축종 자조금 거출률이 100%에 가까운 것과 비교하면 초라하기 짝이 없다. 거출방법에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50%에 미치지 못하는 자조금 거출률은 우리나라 축산업 발전을 선도해온 양계인들의 자긍심에 어울리지 않는다.
그동안 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자조금 거출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자조금 거출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양계농가들이 스스로 자기를 보호하고 지키려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밖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그게 아니라면 계란을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알릴 필요도, 닭고기를 제대로 홍보할 필요도 없다는 이야기다.
과연 그런가. 개방 시대, 소비자 시대에 사는 우리다. 언제까지 정부에 의지해서 우리산업을 지킬 것인가. 언제까지 나아닌 누군가가 대신해주겠지 하는 인식으로 양계산업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인가.
한국 축산의 발전을 선도해온 양계인의 긍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일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