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제주 등 시군 십여곳 나서…전문가 “수요 미흡, 신중한 접근을”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말산업 특구 지정에 발벗고 뛰어들고 있다.
말산업이 지역 농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말산업육성법 제정에 따라,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면, 세금감면, 국비지원 등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말은 지역을 홍보할 훌륭한 수단이 된다. 그리고, 농가 뿐 아니라 관광 등 연계된 분야에도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말산업 특구 지정을 추진하는 지차체는 수면 위에 올라와 있는 것만 해도 제주, 경상, 전라, 충청, 경기 등 전국 10여개 시·군에 이른다.
이들 지자체는 지역내 각종 관광상품을 활용한 차별화된 말산업 모델을 제시, 특구 지정을 꾀하고 있다. 또한, 인력양성, 조사료 조달, 문화축제 등 다양한 말산업 육성방안을 내놓고 있다.
농가를 대상으로는 말입식 구입비 지원, 말사육 아카데미 개최 등을 통해 말산업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를 제외하고는 말산업 특구 지정에 필요한 사육농가 50가구 이상, 말 500마리 이상 생산·사육 시설, 말산업 매출규모 20억원 이상, 승마·조련·교육시설 등을 채우기가 여간 버거운 게 현실이다.
거기에다 이러한 요건을 모두 충족시킨다고 해도, 아직은 말 수요가 너무나 미흡해 특구 지정이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말 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당장 말고기는 물론이고, 승마, 경마, 레저 등 말 판로가 마땅치 않다. 시장여건이 전반적으로 불투명하다. 지자체는 장미빛만을 바라보지 말고, 어두운 면도 고려해야 한다. 신중하게 검토한 후, 말산업에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