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FTA, 사료값 상승, FMD 여파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는 축산농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축사시설 현대화, 경기한우 명품화, 젖소개량 사업 등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우선 도내 250여개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도비, 융자, 자부담 등 948억원을 투입해 축사 신·개축과 내부시설 현대화를 지원한다.
한우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한우 명품화, 송아지생산 안정사업, 한우초음파 진단료를 지원한다.
경기한우 명품화를 위해서는 한우 16만9천두에 대해 도·시군비와 자부담을 포함 27억원을 투입해 한우개량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혈통등록, 선형심사, 생체단층촬영, 암소검정, 우량암소 육성, 수정란이식 등을 강화하고 송아지생산 안정사업은 송아지 10천두에 대해 축발기금과 도·시군비, 자부담 등 10억을 투입해 한우의 안정적 송아지생산 및 사육기반 구축을 적극 추진한다는 것이다. 한우품질 고급화를 위해서 3억4천만원을 투입해 거세비육우 출하전에 초음파 생체 단층촬영 육질 진단을 받게 한다.
도는 지속가능한 낙농산업 육성을 위해 젖소 경쟁력 강화사업과 그린낙농 교육실습시설 설치, 학교우유급식도 지원할 방침이다.
먼저 젖소경쟁력 강화사업을 위해 도·시군비, 자부담 등 23억원을 투입해 젖소 13만7천두에 대한 젖소개량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산유능력검정과 선형심사, 수정란이식 등을 강화하고 한경대학교에 24억원을 투입해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젖소사양관리, 우유생산시설 및 실험실습 교육기반 시설을 올해 말까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10만여명에 대해 국·도비, 시·군비 등 96억원을 투입해 우유를 무상으로 급식할 방침이다.
또 양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10개 사업에 27억원을 투입해 양돈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돈인큐베이터, 냉난방 시설, 에너지절감 환기시설 및 우레탄 단열시설 등을 지원한다.
양계산업은 3개 분야 400개소에 11억원을 투입해 계란 생산자표시 의무화에 따른 자동마킹기를 설치하고, 혹서기 닭 폐사 예방을 위한 환기시설을 지원한다.
양봉산업 육성에는 도내 수원시 등 24개 시·군에 26억원을 투입해 양봉생산성 향상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꿀벌 관리와 양봉산물 생산장비 등을 개량해 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