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논단>방역은 제 2의 국방이다

  • 등록 2015.02.11 10:25:34

 

신창섭 회장(한국양돈수의사회)

 

현재 우리나라 축산업은 국지적 전염병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관리를 요하는 FMD라는 질병에 몸살을 앓고 있다. 현장에서 이것과 직접 맞닥뜨려야만 하는 축산농가들은 이번 겨울이 한파주의보와 함께 더없이 차갑다.
FMD는 바이러스가 원인체로 발굽이 두개로 갈라진 우제류에 해당하는 소와 돼지 같은 동물에서만 발병하는 질병이다. 걸리면 발굽이 빠지고 입안에 수포가 돋아 먹지를 못한다. 그리고 우리에게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이 질병의 전파력이다.
최근 FMD 바이러스의 타입은 'O형'으로 예전에 발생한 타입과 같은 형이지만 유전형이 4%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새로 유입된 바이러스로 추정한다.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와 비슷하다고도 한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가장 큰 문제는 전파력이다. 2010년 안동에서 발생한 베트남형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짐작된다.
작년 12월 초부터 시작된 FMD 발생은 세밑 전까지 79여건에 확진 사례로 이어지고 있다. 발생 지역도 최초 발생지인 진천을 포함한 충남, 경기, 경북을 시간차를 두고 바이러스가 넘나드는 양상이다. 어렵다. 아직까지 명확한 전파경로를 특정할 수 없다.
사람이 눈에 보이지 않는 병원체를 막는 것은 일견 불가능한 도전으로 여겨진다. 파도가 몰아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파제를 쌓고 낙석을 막기 위해 펜스를 치는 것처럼 병원체를 막기 위해 무슨 보호막 같은 것이라도 씌울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상상을 한다.
FMD를 잠재우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3가지가 떠오른다. 첫째는 동물에 대한 방어, 즉 백신접종이다. 두번째는 농장에 대한 방어인 차단방역이다. 그리고 세번째는 국가를 포함한 지역에 대한 방어인 방역체계 가동이다.
최근 뉴스에서 축산농가를 슬프게 하는 것을 보았다. FMD가 발생한 농가에게 살처분 비용을 부담시키겠다는 뉴스이다.
지자체의 재정적 어려움이나 질병확산을 차단하는 데 있어 농가들의 태도에 책임감을 부여하려는 의도는 충분하게 이해되는 부분이지만 전 국가적으로 막아야 하는 FMD 발생을 잠재우는 목적에는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처음부터 잘 생각해 보자. 바이러스가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다름이 아닌 바이러스의 숙주인 소나 돼지가 있는 곳이다. 그래서 일차적으로 축산농가에서부터 방역이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어디가 많을까? 이런 동물들이 모이는 곳이 아닐까? 도축장도 그렇고 우시장도 그럴 것이다. 우시장이야 일시적으로 폐쇄하면 되는 것이지만 도축장만큼은 어렵다. 이런 시설도 방역상 중요한 곳이다.
그리고 다음은 어디에서 바이러스가 남아있을까? 이런 동물들을 실어 나르는 차량이 먼저 떠오른다. 그러면 그 차량들이 다니는 길목은?
축산업은 국민들에게 고품질의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촘촘하게 구성된 산업이다. 가축을 안 기를 수 없는 만큼 전 과정에 대한 관리체계가 가동되어야 한다. 단순히 질병의 발생원인을 농가에게만 따지는 것은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실효적이지 못하다.
축산농민들은 농장만 관리하기도 벅찬 상황인데 어떻게 도축장이나 동물을 실어 나르는 차량과 도로까지 관리할 수 있을까? 여기는 전적으로 지자체와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FMD는 OIE(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지정한 전세계적인 전염병이기 때문에 질병의 확산을 차단하는 역할은 국가에서 진두지휘함이 마땅하다. 물론 현장에서 직접 부딪히는 축산농가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그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축과 가동은 국가적인 관점에서만이 질병차단에 실효적이다.
앞서 언급한 뉴스처럼 살처분 비용을 개인에게 전가한다면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질병이 발생해도 경제적 부담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방기해 버릴 수도 있고 그 행위에 법적책임을 묻는다고 해도 이미 질병은 확산되어 버리는 상황이다.
개인을 처벌하는 것이 먼저인가 아니면 세계적으로 위험하다고 분류된 전염병을 차단하는 것이 먼저인가?
방역은 제 2의 국방이라는 개념을 근간으로 민·관이 상호 협력하여 효과적인 방안과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행하는 것이 상생과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것이다.
축산업은 식량을 생산하는 안보산업이라는 점에서, 규모에 비해 창출되는 일자리의 숫자가 크다는 점에서 국가적인 창조경제산업으로 관리·장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015년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우리 축산업의 새로운 출발점이 지금이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