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국산 광견병 미끼백신 탄생의 의미
양동군 수의연구관(농림축산검역본부 바이러스질병과)광견병은 사람과 동물에서 가장 치명적인 신경계 질병이다.세계적으로 매년 5만 5천명 이상의 사망사건을 일으키며, 수의분야에서는 2종 가축전염병으로 규정하고 있다. 광견병을 전파하는 동물은 박쥐, 붉은 여우, 스컹크, 너구리, 개, 늑대, 몽구스 등이며, 지역에 따라 전파동물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3년 이후에 개에 의한 광견병 전파는 사라지고 주로 너구리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개와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은 광견병 백신을 접종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사나운 개, 야생화된 개, 길고양이, 너구리 등의 동물은 포획하기가 곤란해 근육으로 백신을 접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동물에는 경구용 백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경구용 미끼백신을 개발할 때는 다음의 여러가지 고려해
- 양동군 수의연구관
- 2013-08-08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