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철 본부장 팜스코우리 육가공 산업에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던 2013년을 뒤로한 채 희망을 갖고 2014년 전망을 해본다. 2013년 돼지고기 공급량은 사육두수 및 도축두수 사상 최대치 기록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수입물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보다 1.1%가 증가한 104만톤 규모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분위기 속에 공급 과잉으로 이어져 2012년에 비해 돈가가 크게 하락했다.모돈감축운동 영향 국내산 돈육 공급 감소…돈가 상승 전망수산물 대체효과·잇딴 국제대회로 부산물 시장 회복 움직임국내 돈가 하락의 대책으로 한돈협회에서 시작한 자발적인 10% 모돈감축운동은 전반기에는 지지부진하는 분위기였다가 하반기 들어 그 성과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2013년 말 기준 모돈수 89만5천두, 사육두수 965만두(추정)로 예년 수준으로 정착될 것으로 보이며, 그 영향에 따라 2014
유영철 본부장 팜스코◆국내 부산물 시장의 현주소부산물(副産物, by-products). 사전적 의미로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파생하는 물품으로서 목적제품에 비교하여 중요성이 떨어지며, 그대로 또는 가공한 다음 판매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다시 말해 삼겹살, 목살로 대표되는 주산물, 정육을 제외한 부수적인 생산물을 가리키는 것이다.그렇다면, 부산물은 과연 주산물에 비해 그 가치나 중요성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필자는 부산물에 대해서 3년 전부터 ‘돈돈제품’이라 칭하여 왔다. 돼지에서 돈이되는 제품이라는 의미로 주산물보다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줄 제품이라는 뜻에서 이다.부산물이라는 표현이 자칫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인하여 국내 유통시장이 음성적으로 운영되는 문제로 대부분 처리하는데 급급하지만 그전부터 그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