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데이터 기반 철저한 계획경영만이 성공 보장
황규석 과장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사료 등 가격변동 심해 성과 격차 커정확한 농장진단…경영개선 필수최근 축산업의 여건은 대외적으로 한·미, 한·칠레, 한·EU FTA가 발효되었고 캐나다, 호주 등 축산 선진국과는 FTA를 추진 중에 있어 축산물 수출국과의 무한 경쟁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축산물의 공급량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과 사료비 인상에 따른 생산비 증가로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축산업의 미래 또한 불투명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11년 한우, 양돈, 산란계, 육계, 낙농 등 주요 축산업의 생산액은 15조원이며, 축산업과 연관된 사료, 동물약품, 도축, 가공산업의 매출액은 30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축산업은 소규모 부업형태로 시작하여, 경제발전에 따라 전문화 및 대형화되면서 국가경제에 산업적으로 매우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