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협의회(공동위원장 농림축산식품부 박병홍 축산정책국장·건국대학교 이상락 교수)는 지난 19일 대전 아드리아 호텔에서 제1차 회의를 갖고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을 위한 7개 추진전략 28개 과제로 정부가 마련중인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의 분야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가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 축산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발굴하고 미래 축산환경 준비를 위한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정부는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 주요 추진방향으로 주요 축종별 지역별 맞춤형 가축분뇨 정책을 구축하는 한편 가축분뇨 실태조사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 ICT 활용 악취센서 사방 설치 의무화 및 지역별 양분수지 관리 목표도 수립할 계획이다.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 및 수익구조 개선과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축산 환경 국가자격제도 신설 및 1년 단위 축산환경 관련 대국민 홍보도 주요사업 추진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축산환경관리원으로부터 올해 사업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을 듣고 원활한 수행방안에 대해 의견교환이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이를위해 첫째 각 기관, 단체 및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둘째 가축분뇨 민간 전문관리기관으로서 인력과 예산증액 셋째, 지자체 축산담당 공무원의 업무 과중 등을 고려한 환경부서와의 업무협조는 물론 축산관련 생산자 단체 뿐만 아니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센터 등과 같은 관련기관들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축산환경협의회는 향후 정책자문기구로서 역할 수행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