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수출활로 확대 기회의 장으로…전략 수립을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 치즈 시장을 겨냥해 국산 유제품의 수출활로 확대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중국 유제품 시장을 살펴보면 우유 제품이 60.5%를 차지하고 있으며, 치즈는 2.1%에 불과하다. 1인당 치즈 소비량을 보더라도 2020년 미국 10.4kg, 일본 1.8kg인데 비해 중국은 0.18kg에 불과하다.
하지만 2020년 중국 치즈시장 규모는 88억3천 위안(약 17조5천억원)에 달해 전년동기대비 22.7% 성장했으며 2006~2020년간 성장률은 20%를 초과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서 치즈는 아이들의 영양 간식으로 큰 인기를 끈데 이어, 젊은층 사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즈 제품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많은 자본과 관련 회사가 진출하고 있다.
여기에다 중국 농업농촌부가 발표한 ‘유업경쟁력제고 행동방안’과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발표한 ‘가공 치즈 및 치즈 제품에 대한 신국가표준’은 자국의 치즈산업 규모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치즈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전략 구성을 철저히 한다면, 한국 수출기업 진출에 용이할 것이란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치즈 생산기술과 제품의 다양성을 이미 갖춘 한국제품이 중국 시장에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현지 소비자 수요 파악, 제품 차별화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 등 전략을 사전에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