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R.과 제휴
우선 오염이 덜 되고 다리가 튼튼한 스웨덴의 scan에 가보았고 딸 핵돈 농장이 있는 아일랜드에도 가 보았다. 모돈만 가져가고 수놈은 매주 신선정액으로만 주겠다는데 유감스럽게도 우리나라와는 직항편이 없었다. 영국 PIC는 CEO가 직접 나와 상세히 상담을 하는데 2위 업체 코츠월드사는 계약수의사가 간단히 설명만 하고 근처 호텔방은 아주 근사한, 대처 수상이 묵었다는 팻말이 붙은 방에 안내 해 주었다. (대접을 받은 건지 바가지를 쓴 건지 헷갈렸다.)
하여간 ’95년 8월, 여러 업체 중에서 J.S.R.과 계약을 하고 포천에 신축한 세왕GGP(대표 주원상) 농장에 GGP 450두를 입식 시켰다.
J.S.Rymer 회장은 원래 대단위 농업회사를 운영했고 귀족 혈통답게 훤칠하고 양돈업계에서 존경 받는 분이었으나 여러 해 전 작고하고 아들이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종돈은 비교적 늦게 시작했으나 코츠월드, 뉴샴 하이브리드까지 합병하여 나중엔 영국 내 1위 회사가 되었다.
’91년 미국의 양돈 신흥지역인 노스 캐롤라이나 Smithfield 도축장과 농장을 돌아보게 되었다. 3-site로 분리사육을 하는데, 모돈 4천두 단위 번식 농장에서 17일령 이유자돈을 4단 케이지에 담아 한 차에 800두씩 자돈농장으로 보내고, 비육농장은 800두X4개동을 한 사람이 관리, 차 1대에 200두씩 도축장으로 보내면 계류장 한 칸에 200두씩… 이런 식으로 톱니바퀴 돌아가듯 하루에 2만2천두를 도축하고 있었다.
위생 문제도 개선하고 규모도 확장할 겸 분리사육을 하기로 하고 직원을 ’94년 SEW사료 조사차 미국에, ’95년에는 일본 SEW 농장에 연수 시킨 다음 정책자금지원을 포함, 27억을 투입하여 자돈, 육성농장을 각각 준공, ’96년 2월 15일 첫 입식을 시키게 되었다. 우리 다음에는 대상농장에서 충북에 모돈 6천두 번식 농장을 짓고 역시 3-site로 키우고 있다.
농장을 세 토막 내고 매번 이동시키는 부담이 있어 모돈 규모가 적어도 1000두 이상 커야 하고, 관리의 단순화, 전문화, PRRS 청정화에 유리한 점도 있지만 자돈전출이 통제되면 곤란해질 수도 있다.
계약생산 - 1호 GP 농장은 충북 청원에 있는 금호농장 황학영 사장과 시작하였는데 참으로 성실한 분이었고 그분이 농장을 그만 둘 때까지 15년간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 후 여러 농장과 계약생산을 시도하였으나 농장입지, 시설 같은 것 보다는 경영주의 마인드가 훨씬 더 중요했다.
GP 농장이 수익이 크게 더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GGP 주체의 기술지원, 위생적인 관리 기법 그리고 자부심 같은 것이 소득이지 않나 생각한다.
그 동안 우리 모르게 종돈을 팔거나 GP농장에 F1을 넣는 경우도 있었고 까다로운 위생조건이 귀찮아서 그만 두기도 하고 타 경쟁업체로 갔다가 다시 온 경우도 있었으나 지금은 8개 협력 GP 기술공유와 원칙에 의해 안정적으로 종돈생산을 하고 있다.
’98년 가야육종을 시작할 때 한영섭 조합장을 설득하여 기초 돈군을 수입하는 대신 YY GGP 600두를 공급하고 J.S.R.과 직접 계약도 하도록 주선하였으나 경남 지역 위주로 판매하기로 한 계약이 잘 안 지켜져 1차 기한 6년이 지난 후 종료하고 말았다.
인공수정 사업(AI) - ’93년부터 인공수정 사업을 시작하는데 우선 주간관리 보급이 선결문제여서 열심히 떠들었고, 연암대 심금섭 교수가 고맙게도 일죽농장에 새벽같이 찾아와 직원들을 교육시키느라 많이 애써주었다. 지금은 직영, 협력 포함, 5개 센터에 연간 30만두분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모델돈사 - 유럽 특히 네덜란드에서 느낀 것은 돈사 시설이 어딜 가나 규격화 되어 있는 것이었다. 나부터 대월농장에 도입해보고 나서 CAWI사 Jan Campen 사장과 계약을 하고 몇 군데 연결도 시켜주었고, VIV 전시회 때 태양공업사, 선용공업사 사장들을 데리고 가 CAWI 공장을 보여주기도 했다. 우리나라 돈사 표준화를 시도하고자 ’93년 4월 6일 ‘F-6 모델돈사’란 이름으로 아파트 모델 하우스 모양 오픈 행사를 가졌고 그 후 많은 분들이 보고 갔지만 방역상 그리 오래 할 수는 없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