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농림축산검역본부-축산신문 공동기획 / 기고>구제역 막을 수 있다 ④ 꺼진 불도 다시 보자 <끝>

백신 영향 증상 미미할 수도…의심 시 신고 철저를

  • 등록 2020.11.12 11:33:41


임 다 래   수의연구사(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진단과)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은 발굽과 구강점막, 젖꼭지 등에 수포와 미란을 형성하거나 과다한 유연 및 파행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상증상의 발현정도는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의해 결정되나 그와 동시에 감염량, 감염 연령, 면역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바이러스의 병원성은 임상증상을 수치화해 평가하는 임상지수, 바이러스 배출량 확인(RT-PCR), 혈청학적 검사(ELISA),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농가에서 의심증세를 확인했거나 예찰 활동 중 구제역을 진단하는 방법은 진단 대상이 항체인지 항원인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항체를 검출하는 혈청학적인 진단방법은 ELISA나 바이러스 중화실험 등이 있다.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structure protein, SP)에 대한 항체검사는 백신미접종 개체의 경우 야외바이러스의 감염여부확인을 하는 데 이용하며 백신 접종한 경우에는 백신에 의한 면역형성 여부를 조사하는데 이용한다. 비구조단백질(non-structure protein, NSP)에 대한 항체검사는 백신접종여부와 관계없이 야외 구제역바이러스에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데 이용한다. 

항원을 진단하기 위해서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 수포나 증상이 있는 부위의 상피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배양이나 동물실험을 통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거나 구제역 유전자를 검출하는 RT-PCR기법을 이용한다. 

농장에서 구제역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는 임상증상의 발현정도가 다양하므로 가축별로 특징적 증상을 유념하고 초기 증상인 수포 및 침울 증상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뚜렷한 구제역 의심증상을 발견하면 수포액 및 병변조직을 채취하여 정밀검사를 통해 구제역을 확진하게 된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는 상황에서는 동물의 면역상태와 감염 바이러스에 따라 임상증상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가 포함된 Pool1 지역의 구제역 발생국(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등)에서 O, A, Asia1의 혈청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만약, 이들 국가로부터 유입된 바이러스가 유전적 혹은 항원적으로 국내적용 백신 바이러스와 큰 차이가 있거나, 전혀 새로운 혈청형인 경우 백신을 접종하였다 하더라도 감염동물에서 뚜렷한 임상증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감염된 구제역 야외 바이러스가 국내 상용백신과 항원적으로 유사한 경우는 백신접종된 개체 중 면역형성이 저조한 개체에서만 아주 약한 임상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상증상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구제역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방어면역(항체 및 세포면역) 기전이 체내에서 감염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구인두(oropharynx)에 바이러스가 낮은 농도로 3~6개월간 혹은 최장 3년간 감염상태가 지속되기도 한다. 

이러한 지속감염은 소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양과 염소는 소에 비하여 드물게 발생하며 지속감염의 기간이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의 경우 지속감염이 보고된 바 없다. 

지속감염상태일 경우 다른 동물에 전파 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주변 개체로 전염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지속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 살아있는 개체의 인후두조직 일부를 채취하여 바이러스 항원을 진단하는 프로방검사 (Probang test)를 실시하며 소에서는 probang cup을 이용한 oesophageal-pharyngeal(OP) fluid, 돼지에서는 throat swab을 이용한다.

구제역은 전염성이 클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그간의 구제역 발생 원인과 전파 경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라는 마음으로 작은 의심증상이나 유사병변이 확인될 경우에 신속하게 신고하고 철저한 예찰을 통해 구제역 종식에 우리 모두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